반환점 돈 국토부 도시재생사업…내년부터 30여곳 추가 선정

입력 2015-12-24 10: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지자체 2017년까지 2700억 투입

2017년까지 1400억원을 투입해 낙후된 도심지역의 기능을 회복시키겠다는 도시재생사업이 반환점을 돌았다.

국토교통부는 2년간 노하우를 바탕으로 내년부터 기존 13곳의 도심 외 30여 곳을 추가 선정해 도시재생의 전국 확대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23일 그간 추진됐던 도시재생사업 성과를 알리는 ‘2015 도시재생 한마당’ 행사를 대전시 동구 코레일 사옥에서 개최했다.

손태락 국토부 국토도시실장, 김동주 국토연구원장 외 지자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이번 행사는 도시재생특별법 시행 2년을 맞아 전국 13곳에서 추진한 선도사업의 중간 성과를 확인하는 자리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부터 2017년까지 13개 선도지역에 계획수립비와 사업비 등에 총 1400억여원의 국비를 지원한다는 방침을 세운 바 있다. 매칭 사업을 통해 지자체가 지원하는 1300억원을 포함하면 총 27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이에 따라 이날 2층에 마련된 행사장에선 도시재생 추진팀의 2년간 성과를 나타내는 홍보 부스가 꾸려졌다.

이 중 충북 청주시 팀의 경우 ‘별빛 갤러리’를 소재로 구도심인 수암골을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려는 노력이 엿보였다. 광주 동구의 경우 인구노령화에 따른 청년인구 유입과 마을사업 활성화를 위한 마을 카페 만들기가 중점이 됐다. 대구 남구의 경우 공연문화 조성과 세대 화합을 주제로 한 대명행복문화마을 조성이 소개됐다.

또한 이날 행사에선 도시재생사업에 이바지한 주민과 공무원, 전문가, 활동가 등 35명에게 장관상을 수여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도시재생사업은 내년부터 매년 30여 곳의 지역이 신규 선정돼 전국으로 확대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날 열린 도시재생네트워크 전문가 회의에서 도시재생사업의 해결 과제가 여전히 상존한다고 지적했다.

윤현숙 한림대 교수는 “도시재생의 중요 부분이 주민복지와 직결되지만 이 부분에 대한 사업이 약하다”고 지적했다.

현장 관계자는 “목포가 추진한 사업의 경우 계획 발표에만 1년 6개월이 소요됐다”면서 “도시재생이 전시성 하드웨어 건축에 머물면서 관과 업자들의 사업에 머물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