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출 경제, 위안화 내년 추가 절하시 환율 부담 더 커져
올해 미국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달러 강세가 이어진 가운데 한국의 원화 가치가 달러화 대비 6% 이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세계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통화 가치가 하락한 국가 비율은 8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블룸버그 자료에 따르면 22일 기준으로 세계 149개국 가운데 올 들어 달러보다 자국 통화 가치가 하락한 나라는 126개국으로 집계됐다.
한국 원화는 달러화 대비 가치가 6.3% 내려가 2008년(-26.0%)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7년만에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원화 가치는 지난해(-3.8%)에 이어 2년 연속 내렸다. 원화는 일본 엔화(-1.5%)나 중국 위안화(-4.2%), 대만 달러(-3.5%), 싱가포르 달러(-6.0%) 등 주요 동아시아 통화 가운데 가치가 가장 큰 하락폭을 나타냈다.
이는 한국이 글로벌 교역 둔화로 인한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은데다 달러 강세 현상과 맞물려 국내에서 외국인 자금이 상대적으로 많이 유출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내년 위안화가 추가 절하될 것으로 전망돼 중국과의 수출 경쟁에서 한국의 환율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달러 강세가 정점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근 HSBC 은행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에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인상할 경우 달러 가치 강세가 누그러져 오히려 주요 10개국(G10) 통화 대비 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