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원천자산, 순이익 100배 이상 초과…조기경보투자모형 분석, 1995년부터 채무불이행 상태
IMF 외환위기 당시 대우그룹의 몰락한 이유는 지주회사인 ㈜대우의 재무제표를 보면 잘 나타나 있다.
본지가 신용관리컨설팅 전문가인 박시대 소장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우의 매출원천자산의 규모는 순이익의 100배를 넘는다. 매년 목적사업에 필요한 지출, 즉 목적사업자산이 순이익 대비 크게 늘어나며 1998년에는 한 해에 무려 11조원이 지출됐다. 같은 해 순이익은 920억원에 불과했으며, 누적 현금흐름은 -17조원이었다. 현금흐름의 마이너스(-) 요인이 대부분 매출원천자산의 증가에 있었다는 게 박 소장의 설명이다.(※이하 표 단위: 십억원)
그는 “이는 곧 현금순환이 전혀 없는 부실자산임을 알 수 있다”며 “목적사업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매출원천자산으로 순이익을 분식한 회계부정의 결과”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신용평가 3사에서는 ㈜대우에 대한 신용등급을 1995년 이후 AAA 두 단계 아래인 AA를 부여했다”면서 “오히려 1997년 IMF 당시에는 AA+로 신용등급을 한 단계 격상시켰다”고 지적했다.
비목적 사업자산의 경우 현금흐름을 보면 이 기간동안 3조4000억원이 증가했는데, 증자를 통해 시장에서 조달한 자금으로 2조3000억원을 모두 목적사업과 관련이 없는 투자활동에 소진한 것을 알 수 있다. 1998년 말 누적현금흐름은 목적사업에서 -17조원이었고, 비목적사업에서 발생한 -1조원을 포함해 18조원을 부채로 충당해 지탱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대우는 부실자산으로 점철된 기업의 재무제표에도 신용평가사로부터 초우량기업으로 신용등급을 받아, 무려 18조4000억원에 달하는 신용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었다.
이후 ㈜대우는 1999년 8월 워크아웃을 신청하게 되면서 기업의 실체가 드러나기 시작했는데, 1999년 신용등급이 BB로 강등됐던 것이다. 당기결손이 20조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1993년부터 1998년 동안의 마이너스 현금흐름인 18조4000억원과 거의 유사했다. 2006년 파산 당시 ㈜대우의 자본잠식총액은 21조8000억원이었다.
㈜대우의 이러한 재무상황을 조기경보투자모형을 통해 살펴보면, 1993년 신용평점에 의한 신용등급은 B에서 1994년 BB로 소폭 상승했다. 이후 1995년 다시 B등급으로 하락한 후, 1996년 B-등급으로 떨어지면서 채무불이행상태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신용평가 3사에서는 ㈜대우에 대해 1996년에 AA를, 1997년에는 AA+ 등급을 부여하며 채무상환능력이 거의 최상이라고 평정하고 있었다며 박 소장은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시가총액을 반영한 예상부도빈도(Expected Default Frequency·EDF)는 1995년 이미 채무불이행 상태임을 보여주고 있었고, GAP 리포트에서도 EDF가 부도상태라고 경보를 울리고 있었다”며 “그럼에도 ㈜대우는 이러한 재무제표를 가지고 이 기간에 무려 2조원의 유상증자에 성공했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