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후엔…대학 졸업 79만명이 ‘이태백’

입력 2015-12-15 10: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용부, 인력수급 전망…대학 구조개편 논의 탄력받을 듯

(고용노동부)

앞으로 10년 후면 대졸 청년 79만명이 ‘이태백(이십대 태반이 백수)’ 상황에 놓이게 된다. 오는 2024년까지 4년제 대학 공학·의학 분야 인력은 21만9000명이 부족한 반면, 인문·사회·사범계열은 43만8000명이 남아돌 전망이다.

이처럼 학력과 일자리 간 불일치가 심화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전공별 수급을 고려한 대학 구조개편 논의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15일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14~2024 대학 전공별 인력수급 전망’을 발표했다. 이번 대학 전공별 세분화된 인력수급 전망은 올해 최초로 시행됐다.

전망에 따르면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앞으로 10년간 대학ㆍ전문대 졸업생은 계속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현재 대학 정원 약 56만명이 그대로 유지될 경우 오는 2024년에는 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대학 정원이 약 16만명 많을 것으로 추산됐다. 하지만 청년 대졸 인력의 초과 공급 상태는 계속될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다.

(고용노동부)

우선 2025년까지 10년간 4년제 대졸 32만1000명, 전문대졸 47만1000명을 합한 79만2000명의 대졸 인력이 노동시장의 수요를 초과해 공급될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별로는 4년제 대학 공학의약계열에서 21만9000명, 전문대의 공학인문계열에서 6만1000명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대학의 사회와 사범계열은 각각 21만7000명, 12만명씩 남아돌 전망이다. 인문계열도 10만1000명의 초과 공급이 예상됐다. 전문대의 경우 사회와 자연계열이 각각 22만8000명, 13만9000명씩 인력 초과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추산됐다.

4년제 대학의 전공을 세분화해 보면 경영·경제(12만2000명), 중등교육(7만8000명), 사회과학(7만5000명) 등은 초과공급, 기계·금속(-7만8000명), 전기·전자(-7만3000명), 건축(-3만3000명) 등은 초과수요로 전망됐다. 전문대학의 경우에는 사회과학(15만3000명), 생활과학(11만2000명), 음악(8만명) 등의 인력은 남아돌고 무용ㆍ체육(-3만명), 전기ㆍ전자(-2만8000명), 컴퓨터ㆍ통신(-2만7000명) 등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됐다.

고용부는 이 같은 전망에 따라 공공ㆍ민간의 취업 알선 기능을 강화하고 노동시장 정보 확산 등을 통해 인력 미스매치가 최소화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대학 전공별 수급 상황에 따른 대학 구조개혁과 정원 조정 노력을 이어가고 국내 인력 활용 문제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외국 인력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전망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관련 전문가와 종사자 등의 의견을 적극 반영했지만, 전공과 무관하게 취업하는 경우도 있고, 신뢰성 높은 세부 전공별 노동시장 통계도 충분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면서 “앞으로 통계 기반 확충, 전망방법론 보완 등 전망의 예측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