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백산수, 중국서 北 나진항 거쳐 부산 첫 도착

입력 2015-12-07 14: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10년 5∙24 대북 제재 이후 민간 상업용 화물로는 처음

농심의 생수 백두산 ‘백산수’가 7일 오전 북한 나진항을 거쳐 부산항에 들어왔다. 민간 상업용 컨테이너화물이 나진항을 거쳐 국내에 들어온 것은 지난 2010년 5·24 대북 제재 이후 처음이다.

농심 백산수의 나진항 이용은 ‘나진-하산 프로젝트 3차 시범운송 사업’의 일환이다. 이 프로젝트는 러시아 하산과 북한 나진항을 연결하는철로 개보수, 나진항 현대화사업, 복합물류 사업 등으로 포스코, 현대상선, 코레일이 주관하고 통일부와 외교부가 지원하고 있다.

생수사업은 물류비 관리가 중요한 분야로 농심은 백산수의 국내 반입 경로를 검토하던 중 프로젝트 주관사의 시험사업 참여 요청을 받았다.농심은 다양한 물류 경로를 검토하고 개발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판단했다.

현재 백두산 백산수는 백산수 생산공장(연변 이도백하)에서 대련항까지는 철도로, 대련항에서 평택항과 부산항까지는 각각 해상루트를 이용해 국내에 들어오고 있다. 대련항까지는 육상으로 1000km, 다시 평택과 부산항까지는 해상으로 각각 600km, 1000km 거리다.

농심은 물류비 절감 효과는 사업이 정례화되고 정기 노선화돼야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수송 거리가 짧아지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해상운송 비중이 늘어난다는 점은 장점으로 꼽고 있다. 백산수 생산공장에서 나진까지는 차량으로 250km, 부산항까지는 선박으로 950km로 기존과는 거리 측면에서 약 800km 정도가 가까워진다. 이 노선이 정기화되면 육상 구간을 차량이 아닌 철도로 운송, 물류비를 더욱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에 부산항에 들어온 백산수는 컨테이너 10개 물량으로 약 170톤 규모다. 올해 백두산 백산수의 국내 반입 물량은 10만톤 규모로 전량 대련항-평택·부산 루트를 통해 들어왔다.

농심은 “나진-하산 프로젝트를 통한 물류비 절감 효과는 시범사업으로, 이 프로젝트가 상설화되고 노선이 정기화되면 물류비를 낮추고 백산수의 해외 수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편 농심은 지난 10월 중국 연변 이도백하, 백두산 기슭에 백산수 신공장 가동을 시작했다. 연간 생산량은 새로운 설비에서 100만톤, 기존설비까지 합하면 125만톤으로 국내 생수제조 업체 중 최대의 규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