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구조조정 중간점검] 정부, 해운업계 구조조정 여전히 ‘우왕좌왕’

입력 2015-11-25 19:34수정 2015-11-26 10: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의 연말 해운업계 구조조정이 화두로 떠올랐다. 사상 최악의 불황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몸집을 불리기보다 내실을 다지며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해운업계 인수합병이 수월하지 않고 침체가 계속되고 있다는 이유로 우왕좌왕하는 모습이다.

해운업계 구조조정은 이달 초 정부가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의 합병 또는 매각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불거졋다. 하지만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측은 “어떠한 통보도 받은 사실 없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금융위원회와 해양수산부 역시 “합병을 추진한 사실이 없다”며 일단락 됐지만 해운업계 구조조정은 아직 여지를 남겨둔 상태다.

앞서 정부는 19일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해운업에 대한 구조조정과 경쟁력 강화 방안을 공개하기도 했다. 해운업의 경우 시장원리에 따른 자율적 구조조정을 추진하되 원양선사의 경우 근본적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 골자다.

하지만 해운업은 조선업에 비해 금융당국의 지원 우선순위에서 밀린다는 지적이다. 업황이 적자로 비슷한 상황이지만 고용인원이 적어 차별 대우를 받는다는 것. 실제로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국내외 직원 수는 약 5000명가량으로 비슷하지만 조선업계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숫자다. 업계 전체로 보면 수십만명에 달하는 조선업에 비해 적은 고용효과를 이유로 해운업의 경쟁력이 약화됐다고 보는 시선도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업계의 우려에도 해운업의 주무부처인 해양수산부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김영석 해수부 신임 장관이 16일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의 합병과 관련해 “기존 틀을 유지하는 것이 해수부의 입장”이라는 뜻을 밝혔을 뿐이다. 해수부 한 관계자는 “해운업계가 워낙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많아서 구조조정이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는 드릴 말씀이 없다”고 말을 아꼈다.

이제 남은 것은 현대그룹이 산업은행에 제출해야 하는 자구계획안에 관심이 몰린다. 산업은행은 이달 말까지 현대그룹에 추가 자구계획안 제출을 요구한 가운데 여기에 담길 내용에 대한 관심도 높은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현대증권 재매각 추진, 현대상선 매각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될 것이라는 추측이 나온다. 하지만 어떠한 것도 확정된 것이 없는 상황에 자구계획안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해도 또다른 대책을 만들어내기가 어려운 입장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