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934곳은 전초전… 대기업 300곳 내달 ‘신용위험평가’

입력 2015-11-13 11: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상반기 B등급 200곳에 워치리스트 100곳산업 전반 후폭풍…은행권 충당금 부담도

중소기업 1934곳에 대한 신용위험평가가 마무리됐다. 그 결과 175개 중소기업이 구조조정 수술대에 오르게 됐다. 이중 70곳은 워크아웃을 진행하며, 105개 기업은 법정관리의 절차를 밟게 된다.

하지만 이는 다음 달에 발표되는 대기업 신용위험평가의 전초전에 불과하다. 대기업 살생부가 산업 전반에 일으키는 후폭풍은 중소기업과 비교해 그 규모나 영향력에 있어 훨씬 거대하다. 중소협력사나 계열사까지 미치는 여파가 크고, 이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부담도 훨씬 늘어나게 되기 때문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반기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대상에 오르는 기업의 수는 300여곳으로 추정된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 상반기 신용공여액이 500억원 이상 대기업 가운데 부실 위험이 있는 572개사에 대해 평가했으며, 이중 35곳이 구조조정 대상 명단에 올랐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상반기 대기업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에서 B등급을 받은 200여곳을 대상으로 재점검에 나섰다”면서 “여기에 각 채권은행들이 ‘워치리스트’로 분류한 기업 100여곳도 추가적으로 들여다보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C∼D등급을 받은 기업 명단이 시장에 공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채권은행의 평가와 함께 시장의 검증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금감원은 기업의 원활한 구조조정 추진과 영업활동 등을 이유로 매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 명단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김상조 한성대학교 무역학과 교수는 “대기업은 중소기업에 비해 양질의 정보가 시장에 퍼져있기 때문에 이 기능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면서 “대기업은 중소기업과는 달리 소액 주주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과정의 투명성 확보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기업의 부실은 전 업종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취약업종에 속한 기업의 부실이 다른 계열사로 전이되는 조짐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김 교수는 “5대 불황산업에 부실이 몰린다는 것은 옛말이다. 업종 간 차이가 무색해졌다”면서 “대기업 중 코어기업의 부실 위험이 괜찮은 계열사에 번지고 있다. 전 업종에 대한 대대적인 수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