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학년도 수능 난이도 작년과 비슷…수학 B형 1문제 틀리면 2등급 분석도

입력 2015-11-12 18: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준식 수능 출제위원장이 1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공용브리핑룸에서 전반적인 수능시험 출제 원칙 및 출제 경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2일 치러진 가운데,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쉬운 수능', 'EBS 70% 연계' 등 지난해와 같은 출제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일선 교사와 학원가에서도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거나 약간 어렵다'는 반응이어서 난이도는 무난한 수준이며 변별력을 유지했다는 평가다.

이준식 수능 출제위원장(성균관대 중어중문학과 교수)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번 수능은 2016학년도 6월과 9월 모의평가 수준에서 출제했다"고 밝혔다.

올 수능의 전반적인 출제 방향에 대해서는 "학교 교육을 통해 학습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췄다"며 "예상 정답률 20~30% 수준의 고난도 문항은 영역별로 2~3문제에서 4~5문제까지 변별력을 고려해 출제했다고 덧붙였다.

EBS 연계율과 관련해 이 위원장은 "이미 발표한 대로 EBS 수능 교재 및 강의는 70% 수준을 유지했다"며 "다만, EBS에서 나온 지문 등을 그대로 활용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특히 이 위원장은 2년 연속 수능 출제오류가 발생한 것을 직접 언급하면서 "출제위원단은 2년 연속 발생한 문항 오류로 인해 심적 부담이 컸다"며 "보다 강화된 문항오류 점검 과정을 충실하게 이행하는 등 만전을 기했다"고 강조했다.

교육부가 지난 3월 발표한 '수능 출제오류 개선방안'에 따라 수능 검토위원장이 주관하는 '문항점검위원회'를 신설했고, 평가위원 증원과 교사 중심의 검토위원도 최대 10여명 수준으로 보완했다고 이 위원장은 설명했다.

입시전문기관들은 올해 수능이 지난해 수능과 비슷한 수준으로 출제됐다고 분석했다.

문과 학생들이 응시하는 국어 B형은 지난해보다 쉽게, 수학 A형은 지난해보다 어렵게 출제됐다는 평이다. 다만, 국어 B형의 경우 지난해 수능 난이도가 상당히 높았으므로 다소 쉽게 출제됐다 해도 변별력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이과생들이 응시하는 국어 A형은 지난해보다 어렵게, 수학 B형은 비슷하게 출제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수학 B형의 경우 지난해처럼 문제가 쉬웠기 때문에 한 문제만 틀려도 2등급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올해 다시 재현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문ㆍ이과가 동시에 응시하는 영어는 EBS 체감연계율은 낮아졌으나 어렵지는 않았다는 분석이다. 결국 변별력은 상대적으로 어려웠던 국어 B형(문과)와 과학탐구(이과) 영역에서 발생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