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전기차 배터리에 전사 역량 집중… 케미칼 사업 롯데케미칼에 매각

입력 2015-10-30 08: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배터리 사업에 향후 5년간 총 2조원 이상 투자… 2020년 세계 톱 수준 달성

삼성SDI가 전기차 배터리 기업으로 재탄생한다. 삼성SDI는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 향후 5년간 총 2조원 이상을 투자, 전사 역량을 배터리에 집중해 2020년에는 세계 톱 수준을 달성할 계획이다.

삼성SDI는 “케미칼 사업 부문을 분할해 신설법인을 설립한 후 해당 지분 전량을 롯데케미칼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고 30일 밝혔다. 매각 금액은 2조5850억원으로, 케미칼 사업 부문 지분 90%는 즉시 매각하고, 나머지 10%는 3년 후 넘길 예정이다

이에 따라 삼성SDI는 배터리 사업과 전자재료 사업 부문이 남게 됐다. 이와 함께 삼성SDI는 보유하고 있는 삼성정밀화학 지분 14.65% 전량을 2189억원에 롯데케미칼에 매각한다.

케미칼 사업 부문 분할 기일은 2016년 2월 중 예정으로, 임시주총과 법인설립, 기업결합 신고 및 승인을 거쳐 2016년 상반기까지 거래를 종결할 계획이다.

삼성SDI 케미칼 사업 부문은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자산 1조5000억원, 부채 4000억원으로, 여수, 의왕 등 국내사업장 2곳과 해외 8개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누계기준 케미칼 사업 부문 매출은 1조3000억원, 영업이익은 953억원이며, 종업원 수는 약 1200여명이다.

삼성SDI가 케미칼 사업과 정밀화학 지분 전량을 매각하는 배경은 향후 가파른 성장이 예상되는 전기차 배터리 중심의 사업 구조로의 전환 및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자금 확보 차원이다. 삼성SDI는 이번 매각을 통한 재원을 생산라인 증설과 배터리 소재 R&D(연구개발) 강화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삼성SDI의 케미칼 제품은 ABS, PC 등의 합성수지로 석유화학 기초원료부터 수직계열화를 이루지 못해 원가경쟁력과 지속적인 투자 확대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지난해 그룹 화학 계열사 매각 이후 계열사 간 시너지도 제한적인 상황이었다.

반면 롯데케미칼은 합성수지의 기초가 되는 원료 사업에 강점을 가지고 있어 이번 계약으로 수직계열화를 통한 고부가 제품 라인업 확대가 가능해졌다. 이번 사업 및 지분 거래를 통해 양사는 주력 사업을 글로벌 일류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삼성SDI는 올해 들어 세계적인 자동차 부품사인 마그나의 전기차 배터리팩 사업 부문을 인수하고, 중국 시안(西安)에 업계 최초로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준공해 본격 양산에 돌입하는 등 선행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