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1조8500억 규모 자구계획 이행한다

입력 2015-10-29 16: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영정상화 후 민영화 계획…“책임소재 가릴 것”

대우조선해양이 유동성 확보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총 1조8500억원의 자구계획을 이행할 예정이다. 특히 산은은 대우조선에 대한 경영정상화를 수립하는 등 매각 여건이 조성되면 빠르게 매각에 착수해 민영화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KDB산업은행은 29일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대우조선해양 경영정상화 방안 수립’ 관련 기자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기자간담회에는 정용호 산업은행 기업금융부문장, 정용석 기업구조조정본부장, 유현석 기업구조조정1실장, 백인균 홍보실장 등이 참석했다.

정용석 본부장은 “대우조선해양의 국민경제적 중요성과 국내 조선업의 경쟁력 유지 필요성, 경영정상화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신속하게 정상화를 추진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면서 “대주주인 산업은행과 최대채권자인 수출입은행 중심으로 재무적인 지원방안을 실행하고, 여타 채권은행들의 협조와 회사의 강력한 구조조정을 토대로 정상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력과 조직은 향후 최적의 생산 규모 및 선박 포트폴리오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단계적으로 축소할 예정이다. 내년 이후 직영 인력과 사내 외주 인력을 현재 1만3000여명 규모에서 1만여명으로 감축하겠다는 목표다.

수주 활동 역시 수익성 중심으로 최적의 수주 포트폴리오를 구성, 해양플랜트 비중을 현재 50%에서 40%대로 축소 유지해 리스크 확산을 방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대우조선이 마련한 자구계획 규모는 총 1조8500억원이다.

부동산 등 비핵심 자산을 전량 매각해 약 7500억원을 조달할 예정이며, 향후 인적 쇄신과 구조 개선, 자재비 절감 등으로 1조1000억원 이상의 손익 개선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해외자회사는 매각, 청산 등의 방법으로 정리하고, 비핵심 국내 자회사도 매각해 최대한 빨리 정리할 예정이다.

대규모 부실에 따른 책임도 규명한다. 이에 따라 산은은 전 경영진에 대한 부실 경영 책임을 묻기 위해 남상태 전 대표이사에 대해 수사의뢰한 상태며, 법률적으로 판단해 민사상 경영진의 손해배상도 청구할 계획이다.

향후 산은과 수은, KEB하나은행, 농협으로 구성된 합동 경영관리단을 운영해 대우조선의 경영정상화 이행상황을 철저히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또한 대우조선 경영정상화 추진과 함께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매각 등을 통한 민영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정 본부장은 “매각에 앞서 회사의 기본적인 비즈니스 구조상 수익 모델을 만들어야 매각 실현이 가능하다”면서 “사실상 대우조선의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분리해서 매각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본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