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에 민관공동으로 320억원을 투자해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나선다. 구조적 저성장 국면에서 수출 경쟁력을 높여 제조업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선 제조업 소프트파워를 키워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민관 합동 제조혁신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를 열고 ‘제조업 혁신 3.0’ 전략의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산업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한국 수출의 연평균 성장 기여도는 2000~2008년 3.9%에서 지난해 1.5%, 올해 1분기 0% 수준으로 크게 둔화했다. 1995년 75%에 달하던 수출의 부가가치 창출 능력도 2011년 59.7%로 뚝 떨어져 경쟁국인 일본(83.0%)과 중국(78.2%)에 비해 한참 뒤처져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제조업의 혁신도는 2013년도 기준 38.3%로 독일의 83%, 일본의 50.4%에 많이 못 미친다
이처럼 정부는 경쟁력을 잃어가는 제조업 혁신을 위해 제조업과 IT기술을 융합한 이른바 스마트공장사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스마트공장은 설계·생산·유통 등 제조 전 과정에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첨단기술을 적용해 생산성과 품질은 높이고 가격은 낮춰 공장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것을 말한다.
우선 당초 목표대로 960개 수준(구축 중 또는 완료) 스마트공장을 오는 2020년까지 1만 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동시에 민간(260억원)과 정부(60억원)가 공동투자해 대부분 기초 수준에 머물러 있는 스마트공장 수준을 업그레이드 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보면 우선 내년 반월시화와 창원산업단지 두 곳에서 300곳을 대상으로 국내 통신사 주도의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과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고도화 모델공장 6개를 구축해 중소ㆍ중견기업이 고도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일 방침이다.
LS산전, LS엠트론, KT 등 대기업이 참여, 실제 공장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최첨단 기술의 적합성, 호환성, 제품성능 검증을 위한 일종의 테스트베드인 ‘마더 공장(Mother Factory)’도 만든다. 여기에 스마트공장 모델의 KS표준화를 추진하고 강소기업을 중심으로 해외 수출을 위한 스마트공장 대표 공급사도 키워 스마트공장의 파이를 키우고 질을 높인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