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한국학자 154명, 역사 교과서 집필 거부 교수와 동조…"국정화 반대"

입력 2015-10-26 01:53수정 2015-10-26 03: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외 한국학자 154명, 역사 교과서 집필 거부

▲지난달 7일 오전 서울 동대문구 혜화동 흥사단강당에서 진행된 ‘역사교육연대회의, 박근혜 정부의 첫 국정역사교과서 분석결과 중간발표’에서 하일식 연세대 사학과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사진=뉴시스)

해외 대학에서 한국사 관련 연구와 강의를 하는 교수와 강사 등 한국학자 154명이 성명서를 내고 한국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계획에 대한 우려의 뜻을 전했다. 이들은 역사 교과서 집필 거부 운동에 동조의지를 함께 밝혔다.

25일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 교수, 존 트릿 예일대 교수, 로스킹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교수, 윤성주 미국 칼던대학 교수, 김선주 하버드대 교수 등은 성명서를 통해 역사 교과서 집필 거부 현상에 동조 의지를 밝혔다. 성명에 동참한 한국학자는 이들을 포함해 총 154명이다.

해외 대학에서 강의 중인 154명의 한국학자는 성명서에서 "민주주의 국가에서 역사교과서는 다양한 의견과 분석을 존중하고, 자유로운 토론과 전문 역사학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만들어져야 한다고 믿는다"고 주장했다.

역사 교과서 집필 거부와 관련해 "한국정부의 국정화 계획은 지난 몇년간 자유로운 발언의 기회와 학문공동체의 자유를 억압해 온 정부 정책들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비판했다.

154명의 한국학자는 "역사는 정밀한 과학과 다르며, 전문 역사학자들의 다양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며 "역사에 단일한 해석을 적용해서는 올바른 역사를 만들 수 없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정부의 국정교과서 계획은 민주국가로서 인정받은 한국의 국제적 명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일본 정부의 역사 수정주의를 둘러싼 지역 내부의 분쟁에서 한국의 도덕적 기반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성명서 발표 이유에 대해 "연구자와 교육자로서 한국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계획을 우려하며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한국의 동료 역사학 교수들에게 연대와 지지의 마음을 표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