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국회 전면 보이콧' 접고 수위조절…여론의식해 교문위만 연계키로

입력 2015-10-19 19: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새정치민주연합은 19일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막기 위한 투쟁에 당력을 집중하면서도 여론의 역풍을 우려해 한때 고려했던 국회 상임위 전면 보이콧 카드를 접었다.

대신 광화문에서 진행해온 1인시위는 8일째 이어가는 등 장외투쟁의 불씨는 남겨뒀으며 문재인 대표는 정의당 심상정 대표, 신당을 추진한 무소속 천정배 의원과 회동, '야권 3각 연석회의'를 여는 등 공동대응 마련에 나섰다.

애초 원내지도부는 21일까지 각 상임위 예산심사를 보이콧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강경투쟁'을 염두에 두고 이날 오전 의원총회를 개최했다.

그러나 최고위원 등 지도부 다수는 물론, 의총에서 대부분 의원들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언주 원내대변인은 "전체 상임위 예산과 연계할 경우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는 주장이 많았다"며 "여당의 전략에 말려들어서는 안되며, 장기전인만큼 국민과 호흡을 함께하자는 의견이 대부분"이라고 소개했다.

의총에서는 일부 의원들이 2~3일 가량 국회 일정을 멈추자고 주장했지만, 예산을 연계해 싸우는 대신 정상적으로 상임위를 가동하며 다양한 여론전을 벌이자는 의견이 대세를 이뤘다.

특히 최근 '대선불복 발언' 논란을 일으킨 강동원 의원의 사례를 들어 자칫 대여전선을 흐뜨러뜨릴 수 있는 만큼 조심하자는 의견이 나오는 등, 여론을 크게 신경쓰는 모습이었다.

결국 의총에서는 교문위에서 교과서 관련 예산을 연계하되, 다른 상임위는 연계하지 않기로 결론을 내렸다.

대신 이 원내대표는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와 회동을 제안하는 등 '대화를 통한 해결'로 가닥을 잡았다.

이런 결정의 배경에는 총선이 다가온 만큼 예산심사를 빨리 해야한다는 생각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고 당 관계자는 전했다.

의사일정 보이콧 카드는 접었지만, 광화문 광장에서는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의원단이 국정화 반대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장외투쟁은 이날도 계속했다.

주말에 시민단체가 주최하는 집회에 결합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등 시민사회와의 연대 강화에도 힘을 기울였고,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한 온라인 여론몰이에도 힘을 쏟았다.

한편 문 대표는 정의당 심상정 대표, 무소속 천정배 의원과 '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 3자 연석회의'를 출범시켰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