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경제硏 “지난해 중소기업 38%, 금융기관 대출 사용 안 해”

입력 2015-10-19 13: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소기업 4500개 조사해 ‘2015년 중소기업 금융실태조사’ 발표

지난해 4500개 중소기업 중 약 38%가 금융기관의 대출을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은행권 담보요구는 2013년에 비해 더 강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IBK기업은행 산하 IBK경제연구소는 올 상반기 중소기업 4500개사를 대상으로 ‘2015년 중소기업 금융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지난해말 기준 외부차입금이 없는 중소기업 비율이 37.9%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외부차입금이 없는 이유로는 ‘내부유보자금으로 충당이 가능해서’(83.8%)라는 응답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대표이사의 무차입 경영철학 실천’(10.4%), ‘담보부족 등으로 금융기관 대출이 어려워서’(3.2%) 등을 꼽았다.

금융기관에 신청한 신규대출이 거절당한 비율은 6.9%로 나타났으며, 기업규모가 작은 소기업(7.0%)이 중기업(4.4%)보다 거절당한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거절 사유로는 ‘담보부족’(63.0%)이 가장 많이 꼽혔으며, ‘대출한도 초과’(30.6%), ‘신용등급 미달’(26.8%), ‘업력이 짧아서’(13.5%), ‘사업성 불투명’(11.2%), ‘업황악화’(9.4%) 순으로 나타났다.

매출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정책자금 대출 수혜기업 비중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정책자금 대출 수혜기업 비중은 5.1%로, 제조업의 비중(10.2%)이 건설업(0.8%)과 서비스업(3.6%)보다 높게 조사됐다. 매출액 규모별 비중은 ‘매출액 10억원 미만’ 3.9%, ‘10억원 이상∼50억원 미만’ 6.2%, ‘50억원 이상∼100억원 미만’ 7.4%, ‘100억원 이상’ 7.3%로 나타났다.

대출받은 정책자금의 종류로는 ‘중소기업진흥공단 대출’이 61.0%로 가장 많았으며, ‘재정기금자금 대출’(21.5%),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대출’(15.2%), ‘온렌딩자금 대출’(3.1%), ‘금융중개지원 대출’(1.8%) 등의 순이다.

2014년 중 사채를 통해 신규자금을 조달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 비중은 3.4%다. 규모별로는 중기업보다 소기업이, 그리고 매출액이 작은 기업일수록 사채 조달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사채 조달 이유로는 ‘은행 및 제2금융권 대출이 어려워서’가 63.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친구, 지인, 친·인척 등으로부터 차입이 가능해서’(27.3%), ‘사채의 차입절차가 신속/간편해서’(8.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IBK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실태에 대한 종합진단 통계조사로, 앞으로 효과적이고 과학적인 중소기업 금융지원을 위한 기초통계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첫 실시된 이 조사는 중소기업의 금융실태, 자금수요, 조달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정책당국의 중소기업 금융정책 수립 및 학계, 유관기관의 중소기업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