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블랙프라이데이 내수 회복 기여 ... 연례행사로 정착시킬 것”

입력 2015-10-14 16: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월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코리아 블랙프라이데를 연례행사로 정착시키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9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해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가 현장의 호응 속에 내수 회복의 모멘텀을 이어가는 데 큰 기여를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사상 최대 업체(92개 업체, 3만4000여 점포)가 참여했으며 주요 백화점 매출이 24.7%, 온라인 쇼핑몰 26.7%, 가전유통업체 매출은 18.7% 증가했다”면서 “외국인관광객 입국자수가 메르스 사태 이후 3개월여 만에 전년수준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업계와 소비자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미흡한 점을 보완하고, 국민 모두가 즐길 수 있는 한국의 대표적 연례 할인행사로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G20 재무장관회의와 IMF/WB 연차총회에서 회원국들이 글로벌 금융안전망 강화를 위해 공조하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회원국들은 세계경제 성장률이 하락하고 주요 신흥시장국의 불안이 심화되면서 세계경제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각국이 확장적 거시정책 및 구조개혁을 강하게 실행하고, 글로벌 금융안전망 강화를 위해 공조하기로 했다”고 했다.

최 부총리는 최근 국민경제자문회의를 통해 제안된 지역경제 발전방안과 관련해 “기재부를중심으로 관계부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연말까지 지역별 특화산업을 신청받아 선정하는 등 후속조치를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어 “그동안 다양한 지역 대책을 추진해 왔으나 나눠주기식 지원, 경직된 규제 등으로 실질적 효과가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이번 정책 제안은 각 지역이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스스로 선정하고 과감한 규제특례를 부여해 지역마다 차별화된 특화발전 전략으로 전환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대통령 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는 지난 7일 17개 시·도별로 특화사업을 선정해 핵심규제를 철폐한 '규제 프리존(free zone)' 도입을 골자로 하는 지역경제 발전방안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건의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