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노동 강도 가장 센 직업은 무엇?

입력 2015-10-13 16: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위는 ‘텔레마케터’…호텔관리자ㆍ네일아티스트도 감정노동 많아

국내 주요 직업 중 감정노동의 강도가 가장 센 직업은 텔레마케터(전화통신판매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은 고객의 기분에 맞추거나 기업에서 요구하는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고무시키거나 억제해야 하는 근로행위를 말한다.

한국고용정보원은 국내 730개 직업 종사자 2만5550명의 감정노동 강도를 분석ㆍ비교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13일 밝혔다.

고용정보원은 직업별 감정노동 강도를 알아보기 위해 △전화ㆍ대면ㆍ전자메일 등 대인 접촉 빈도 △외부 고객 또는 민원인 대응의 중요도 △불쾌하거나 화난 사람을 대하는 빈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분석 결과, 1위는 텔레마케터가 차지했으며 뒤이어 호텔관리자, 네일아티스트, 중독치료사, 창업컨설턴트, 주유원, 항공권 발권사무원, 노점ㆍ이동판매원 등의 순이었다. 또 상점판매원ㆍ고객상담원ㆍ해양경찰관도 감정노동이 많은 직업 상위 2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감정노동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별로 순위가 높은 직업을 보면 대인 접촉 빈도가 높은 직업은 주유원, 중독치료사, 치과위생사 등이었다. 외부 고객 또는 민원인 대응이 중요한 직업으로는 중독치료사, 자연환경 안내원, 보험대리인 및 중개인 등이 상위에 올랐다.

일을 하면서 화난 고객 또는 무례한 사람을 대하는 빈도가 높아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으로는 텔레마케터, 경찰관, 보건위생 및 환경 검사원, 항공기 객실승무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감정노동이 많은 직업은 고객 또는 민원인과의 직접 접촉을 통해 직무수행이 이뤄지는 의료ㆍ항공ㆍ경찰ㆍ영업ㆍ판매 등 서비스 직업군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박상현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최근 서비스 관련 직업군의 비중이 커지는 추세 속에서 ‘고객만족’이라는 문화가 만들어 낸 그늘이 감정노동”이라며 “자신의 감정을 숨긴 채 웃는 낯으로 고객을 대해야만 하는 감정노동 직업인을 위한 관심과 배려, 정책적 지원이나 예방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