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나가는 사람들] 총선 6개월 남았는데… 지역구 획정 지지부진, 공천 룰도 ‘깜깜이’

입력 2015-10-08 11: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일 남긴 획정위 지역구 못 정해… 후보자 지역구 선택 차질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6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지역구 획정 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은 데다 공천 룰도 불투명한 깜깜이 선거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출마자들은 나서야 할 지역구를 아직도 정하지 못했는가 하면 이미 뛰고 있는 주자들의 공천 불안감 역시 커지고 있다.

선거구 획정의 경우 법정시한이 오는 13일로, 남은 5일 동안 획정을 마무리 지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 지역 선거구 개수조차 정하지 못하고 있다. 여야가 각각 4명씩 추천한 획정위원들이 안건마다 ‘4대 4’로 갈라서면서 결정을 내리지 못한 탓이다.

선거사상 처음으로 국회 바깥에 독립기구로 설치된 획정위는 기대를 저버리고 사실상 허수아비로 전락하고 말았다. 현재는 헌법재판소가 결정한 ‘2대 1’의 인구 상·하한을 지키면서 인구가 적은 농·어촌 지역구의 통폐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작업이 진행 중이다.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면서 출마를 준비 중인 후보들의 지역구 선택도 덩달아 차질을 빚고 있다. 일부는 분구가 예상되는 지역을 ‘찜’한 채 뛰고 있지만, 획정 결과가 달라진다면 낭패를 볼 수 있다.

인천 연수구 지역의 한 출마자는 “인천 연수구는 분구가 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를 염두에 둔 주변 지역구 출마자들도 서로 눈치를 보고 있어 대결 상대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공천 룰도 가늠하기 어려운 건 마찬가지다. 새누리당 김무성·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합의한 이후 각 당내 반발에 부딪혀 결과를 알 수 없게 됐다.

특히 새누리당 후보들의 애로가 많다. 새정치연합과 달리 공천 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아서다. 당헌·당규에 따라 일부 지역을 우선 추천하고, 현역 의원에 대한 컷오프는 최소화한다는 방침 정도만 알려져 일을 뿐 구체적인 컷오프 기준이나 항목별 평가 등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런 상태가 지속한다면 정치 신인들은 크게 불리할 수밖에 없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현역 의원의 20%를 기본적으로 물갈이한다는 계획하에 항목별 점수와 가산점 등 평가 기준 등이 마련돼 있다.

새누리당 소속의 한 출마자는 “야당은 이미 공천 기준을 보고 전략적 선택을 하고 있는데, 새누리당은 정해진 게 아무것도 없어서 무작정 지역에서만 뛰고 있다”며 “조속한 시일 내에 공천 방식이 결정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다른 유력 출마 예정자는 “새정치연합의 방식대로 공천을 한다면 내가 출마하려는 지역 의원의 평가가 안 좋기 때문에 해볼 만한 싸움이 될 것 같은데 새누리당은 아직 기준을 잘 모르겠다”면서 “지역구와 비례대표 출마 중 어떤 것이 유리할지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