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양육수당 인상 추진… 국공립 어린이집 야간보육 의무화도

입력 2015-09-23 19: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보건복지부는 23일 “부모의 양육비 부담을 줄이고자 적정수준의 양육수당을 지급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복지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뢰한 ‘영유아 적정 가정양육비용 산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령별 지급 수준을 결정키로 했다.

양육수당은 0~7세 아동이 어린이집, 유치원을 다니지 않고 여성부의 아이돌봄서비스(종일제)를 이용하지 않으면 지급된다.

현재는 12개월 미만 20만원, 12개월 이상~24개월 미만 15만원, 24개월 이상~36개월 미만 10만원, 36개월 이상~84개월 미만 10만원이 각각 지급된다.

복지부가 가정양육수당 인상을 추진하는 것은 미취학 아동의 가정양육을 독려하고 불필요한 어린이집·유치원 이용 수요를 줄이기 위함이다.

현재는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길 경우 29만~77만8천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가정에서 양육하면 이보다 훨씬 적은 10~20만원의 가정양육수당을 받고 있다.

복지부는 또 취업맘이나 시간연장 보육 수요가 있는 전업주부에 대한 보육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국공립 어린이집에 야간보육(오후 7시30분~자정) 지원을 의무화할 방침이다.

시간연장 보육을 하는 어린이집을 늘리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시간연장 보육에는 야간보육과 하루 내내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24시간 보육이 있다. 2014년 기준 9215개소였던 시간연장 보육 지원 시설을 2017년 1만383개소, 2020년 1만811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다.

다만 2~3교대제 근무, 야간근무, 응급실 방문 등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만으로 한정해 시간연장 보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현재 표준보육비용의 94%(만 0세 기준)에 머무는 정부의 보육비 지원금은 100% 수준으로 인상을 추진한다.

월 17만원 수준의 영아반(만 0~2세) 보육교사 1인당 처우개선비도 누리과정(만 3~5세·30만원)이나 유치원(51만원) 교사와의 형평성이 맞도록 단계적으로 인상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