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제조-서비스업 격차 확대
우리 경제가 외환위기 이후 구조변화의 과정을 겪으며 성장속도가 둔화되는 가운데 서비스업의 성장률이 하락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성장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 산업에서 생산성 향상보다는 노동자 자본 투입에 의존해 성장하고 있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에 따르면 서비스업은 외환위기 이전인 85~95년 8.3%에 달했으나 95~2005년에는 3.9%로 급락했다.
85~2005년 중 우리나라 전 산업은 연평균 6.3% 성장했으며, 제조업 성장률은 85~95년 중 10.4%에서 95~2005년 중 7.3%로 하락했다. 서비스업 성장률이 제조업이나 전 산업 성장률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서비스업 총노동투입의 성장기여도는 같은 기간 4.3%P에서 2.6%P로, 자본투입의 성장기여도도 3.0%P에서 1.6%P로 각각 감소했다. 또한 총요소생산성의 성장기여도는 0.9%P에서 오히려 -0.3%P를 기록, 성장률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하고 있다.
이처럼 자본투입과 생산성이 떨어지다 보니 노동력 공급에 의해 성장을 의존하고 있는 상태이다. 서비스업 성장에 노동투입이 기여하는 비중은 85~90년 40% 미만이었으나 2000년 이후에는 무려 73.9%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업은 노동과 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크게 줄어들고 생산성이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성장률이 95~2005년 사이에 줄어든 것은 주로 노동투입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노동투입의 성장기여도는 2.0%P에서 -0.5%P로 감소했다. 자본투입 역시 4.8%P에서 3.1%P로 하락했다.
반면 총요소생산성의 기여도는 3.6%P에서 4.7%P로 높아졌다. 95년 이후 성장률 7.3%의 54% 가량이 생산성 향상에 따른 것이다.
최요철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 차장은 "선진국이 우리와 비슷한 성장세를 보였던 47~73년 당시 요소생산성의 성장기여율은 50% 내외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제조업은 선진국과 유사하게 총요소생산성이 주도하는 성장단계로 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최 차장은 “노동공급이 정체된 상황에서는 자본투입과 총요소생산성의 증대가 성장을 견인한다”며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 회복을 위해서는 국내투자 확대와 낙후된 서비스산업의 생산성 증대가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