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보 “기술보증 받은 기업 R&D 투자 규모 지속적 상승”

입력 2015-09-17 16: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술보증기금은 지난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4년간 기술금융을 지원받은 2500개 기업의 매출액 대비 R&D 투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고 17일 밝혔다.

기보로부터 신규 기술보증지원을 받은 기업 대부분은 창업 5년 이내의 기술창업기업으로, R&D투자 절대금액은 평균(전체 중소기업)보다 낮지만 매출액 대비 R&D 투자 금액은 연속해서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금융 지원이 기술력에 바탕을 두고 성장잠재력이 높은 중소기업을 선별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측정항목은 R&D투자규모와 무형자산에 근거해 △R&D투자집중도(매출액대비 R&D투자규모 비율) △무형자산비율(총자산대비 무형자산 비율) △R&D투자배수(무형자산대비 R&D투자규모 배수)로 구성됐다.

기간별 R&D투자 집중도는 2012년 15.4%, 2013년 20.5%, 2014년 17.9% 등 연속해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료=신용보증기금 제공)

업종별로는 지식서비스업 등 고부가 산업과 전기/전자, 석유/화학 등 전통적인 산업분야에서도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 업종별로는 R&D 효율성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금융 지원분야별로는 주로 지식재산, 특허가치를 대상으로 한 기술보증 지원기업의 R&D투자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신성장동력산업 영위기업 또한 다른 지원 분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중소기업 R&D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대한 분석에서는 △기술인력 △기술조직 △지식재산권(IP) △기술개발실적 등 주로 기술력에 기반한 기업 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의 재무적 특성인 △당기순이익 △매출액 △영업이익 △종업원수는 오히려 R&D투자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기업의 외형적 규모나 재무성과가 향상이 R&D투자의 규모 증가로는 이어질 수 있지만, R&D투자 효율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해석된다.

기보 관계자는 “향후 중소기업 R&D투자에 따른 질적 향상 수준과 성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특정 산업 분야에서 비교하거나 시기별로 그 변화 정도를 측정할 예정”이라면서 “R&D 정부 정책, 더 나아가 국가 간의 기술경쟁력 파악에도 유용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