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은 굴레… 포스코, 플랜텍 부실로 1000억 충당금 설정

입력 2015-09-17 08:46수정 2015-09-17 10: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외사업 부실로 3분기 충당금 쌓기로, 포스코플랜텍 워크아웃 개시 여부도 불투명

포스코가 2010년 3월 1600억원을 들여 인수한 부실기업 성진지오텍(현 포스코플랜텍)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지분 60.83%를 보유한 자회사 포스코플랜텍의 해외사업 부실을 이유로 최대 1000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올해 3분기에 쌓기로 했다.

포스코플랜텍 채권단 관계자는 “이란 등에서 플랜트 사업과 관련한 부실 채권이 있다”며 “이 때문에 포스코 측에서도 충당금을 적립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포스코가 포스코플랜텍의 부실로 충당금을 쌓으면서 ‘밑 빠진 독에 물 붙기’ 논란도 커질 전망이다. 포스코는 2010년 이후 지난해까지 유상증자를 통해 모두 5000억원의 자금을 포스코플랜텍에 지원했다.

이후 올해부터는 자금지원을 중단했다. 대신 740억원 규모의 광양제철소 공사 일감을 포스코플랜텍에 몰아주는 우회 지원 방식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포스코는 포스코플랜텍의 부실로 올해에도 자금 측면의 손실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됐다.

포스코가 포스코플랜텍의 부실로 충당금을 쌓으면서 올해 3분기 당기순손실이 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증권업계는 포스코가 충당금 설정 이외에도 외화환산손실, 해외광산 관련 손상차손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포스코의 3분기 순손실 예측 규모는 1000억원이다.

여기에 포스코가 일본 신일철주금에 기술도용 소송과 관련한 합의금을 지급하면 순손실 규모는 크게 늘어난다. 업계에서는 포스코가 3000억원의 합의금을 신일철주금에 지급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포스코플랜텍의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작업) 개시 여부도 여전히 불투명하다. 채권단 관계자는 “포스코플랜텍의 워크아웃 진행과 관련 아직까지 기관들의 동의가 얻어진 상황은 아니다”며 “이 회사의 정상화 방안이 세워져 있지 않아 현재로서는 워크아웃으로 갈 지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채권단은 9월 내에 포스코플랜텍의 워크아웃 여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