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신용등급 상향]'美금리인상 앞둔 한국, S&P 신용등급'깜짝'상향 득실은

입력 2015-09-16 08:34수정 2015-09-16 10: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제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상향을 '깜짝'발표하면서 그 배경과 득실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국제신용평가사인 S&P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에서 ‘AA-’로 한 계단 상향 조정했다.

AA-는 국가신용등급 중 네 번째로 높은 단계로 한국이 S&P로부터 받은 역대 최고 등급이다.

S&P는 이날 발표문을 통해 이번 등급상향의 배경으로 한국의 양호한 재정과 대외 건전성을 언급했다.

특히 S&P는 국내 은행권의 순대외채무가 경상계정수입(CAR)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7년 24% 수준에서 2014년에는 0% 수준으로 하락해 대외채무에 따른 은행권의 위험요인이 크게 줄어든 점을 높이 샀다.

국가채무 비율 또한 내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40%선을 넘을 전망이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선 건전하다는 평가다. 이밖에 한국 정부의 순부채가 2015년 기준 GDP의 20%를 소폭 상회해 양호한 수준을 유지한 점에도 기인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S&P·무디스·피치의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모두 AA-(무디스 기준 Aa3) 등급을 받았다. 주요 20개국(G20) 중 3대 신용평가사에서 AA- 이상의 신용등급을 받은 국가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독일·캐나다·호주·영국·프랑스·사우디아라비아 등 8개국에 불과하다.

정부와 전문가들은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가 연내 금리 결정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신용등급 상향의 긍정적인 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미 금리인상과 함께 한국 경제의 성장률 둔화에 기인한 자본 유출 우려가 어느 정도 해소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기획재정부는 이번 등급상향이 국내 경제주체의 해외차입비용 감소로 연결되고, 등급강등이 이어지고 있는 신흥국과는 차별화된 인식을 심어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일각에선 S&P의 예상밖 신용등급 상향이 미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신흥국의 경기둔화를 불식시키기 위한 행보가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된다.

실제로 S&P는 불과 6일 전인 지난 10일 한국 기업의 신용등급 평균값이 지난달 말 투기등급 직전인‘BBB-’(10번째)에 가까운 수준까지 하락했다고 발표해 돌연 이들 기업을 바탕으로 한 한국경제의 상향 조정엔 상당한 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그래서 S&P가 제시한 장미빛 전망에 안심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한국은 1995년 5월 S&P로부터 AA- 등급을 받았고 97년 10월까지 이 등급을 유지했다. 하지만 그해 12월 외환위기를 맞으면서 투자부적격 등급인 ‘B+’로 무려 10단계나 하락한 바 있다.

때문에 S&P의 등급상향으로 글로벌 유동자금이 국내로 유입되다 미 기준금리 인상 이후 외입자금이 일거 이탈할 경우 유사한 상황이 재현될 공산도 크다는 분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