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국감]"대우조선 임원 연봉 8억 유지…현대중 연봉 삭감과 대조적"

입력 2015-09-14 16: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규모 부실사태로 논란을 일으킨 대우조선해양의 지난해 임원급 연봉이 성과급 포함 8억원대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대중공업이 지난해 영업손실 발생과 관련해 CEO 연봉을 삭감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 과정에서 금융위원회가 대우조선의 주주총회 안건 부의를 통해 임원급 연봉 동결을 제동할 수 있었음에도, 무조건적인 찬성표를 던짐으로써 관리 감독에 소홀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오신환 새누리당 의원은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임종룡 금융위원장에게 "대우조선 주총을 통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대우조선의 부실을 사전에 견지할 수 있었음에도 주총 안건에 찬성표를 던졌다"고 지적했다.

대우조선에 공적자금을 투입한 산업은행과 금융위, 국민연금관리공단 등의 지분을 합하면 51%를 넘어선다. 이중 금융위는 지난 2013년 2월 당시 대우조선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공적자금을 투입, 대우조선의 주식 3282만주를 보유하게 됐다.

오 의원에 따르면 그간 대우조선의 주총 안건에는 △이사 선임의 건 △대출한도 승인의 건 △임원 퇴직금 지급 일부 변경의 건 등이 부의, 금융위는 해당 안건에 전부 찬성표를 던졌다.

이와 관련, 2011년 이후 지난해까지 대우조선 임원의 경우 사장과 부사장, 전무 모두 연봉 삭감 횟수는 단 한 차례도 없다. 평균 연봉 4억2723만원에 성과급을 포함하면 대우조선의 임원이 1년간 대우조선으로부터 받는 돈은 총 8억원을 넘어선다.

오 의원은 "지난해 적자 손실이 크게 난 현대중공업은 CEO의 연봉을 삭감했다"며 "금융위 산하 공자위는 이 같은 노력을 하지 않았다. 대우조선의 경영에 좀 더 세심하고 밀도 있게 검토했더라면 이 같은 결과는 없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임 위원장은 "공적자금 회수와 관련해 운영사항을 살펴보고, 보완점이 필요하면 보완하겠다"라고 답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