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과열은 유사하지만 총선시기와 외국인 주식참여 등에서 큰 차이
중국의 국회부의장이 대놓고 버블을 언급하는 등 연초부터 증시억제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는데 비해 베트남은 중앙은행을 제외한 대부분의 관련 당국자들이 IMF 등 여러 전문가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립서비스 차원의 규제만을 내놓고 있어 대조를 보이고 있다.
지난 1월 30일 중국 국회부의장인 쳉 시웨이는 파이낸설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버블이 진행중이고 투자자들은 위험에 대해 우려해야 한다”고 경고하는가 하면 “상장주식의 70%가 가치 없는 것들로서 상장폐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은행들로 하여금 대출 관행을 까다롭게 하도록 요구해 개인투자자의 주식투자용 대출을 금지시켰다. 또 연초 이후 두 차례의 지급준비율 인상도 모두 주식과열을 겨냥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반면 베트남 당국의 증시대책은 이와 사뭇 차이가 난다. 은행권의 주식담보대출을 규제하고 투명성 제고를 위해 증권사 검사에 나선 것이 거의 전부다.
베트남이 중국보다 단기과열에 대한 우려가 높지만 3월에 전문가를 외국에 파견해 대책을 세우겠다고 한다.
태국식 자본통제 조치 검토보도나 자본차익 검토 발표 등 구두 개입은 있지만 총리 등 지도들은 버블이 없다고 오히려 시장을 자극하고 있다.
중국과 베트남당국의 증시에 대한 접근차이에 대해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는 총선(중국은 전인대선거, 베트남은 국회대표선거)실시 시점이다. 중국의 전인대 선거가 내년 1월인데 비해 베트남은 5월 20일로 최근의 양 시장의 과열을 감안할 때 대응 태도에 차이가 날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중국은 올 상반기 중 버블을 완화시키고 가고 싶은 반면 베트남은 다가온 선거로 그럴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중국은 ‘매도 일찍 맞는 게 나은 심정’이고 베트남은 그럴 겨를이 없다.
다음으로 베트남은 올 하반기부터 주요 국영기업의 본격적인 민영화가 예정되어 있어 외국인 참여를 통한 자금 조달이 주요 관심사다.
외국인에 이미 49% 개방한 상황에서 IPO시 비싼 가격으로 경매에 응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베트남 당국의 숨은 의도다.
반면 중국은 아직도 A시장과 B시장으로 구분해 외국인 들을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상황이 전혀 다르다.
베트남 주식 붐이 내외국인의 합작품이라면 중국의 최근 주식 붐은 사실 외국인보다는 내국인이 예금 대신 달려드는데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면에서 중국시장과 베트남시장에 대한 단기와 중장기 전망에 대한 차별화가 필요하다.
인접한 두 나라, 수 천 년간 애증이 엇갈리고 있는 두 나라의 증시.
단기과열이라는 평가를 받는 두 시장. 하지만 규모나 제도도 천양지판이고 정치 상황도 다르다는 점에서 시장에 대한 접근방법도 다를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