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84%, 지속가능성 ‘취약’ 판정…종합 ‘A+’ 신한지주 유일

입력 2015-09-07 16: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기업지배구조원)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하 지배구조원)이 국내 상장사 828곳을 대상으로 비재무적 지속가능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84.3%의 기업이 ‘취약’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등급에서 ‘A+’를 받은 회사는 신한지주가 유일했다.

7일 지배구조원은 상장회사의 상장회사의 환경경영(E), 사회책임경영(S), 지배구조(G) 수준을 평가해 ‘2015년 ESG 등급’을 부여하고 공표하면서 양호한 수준(A+, A, B+)으로 분류되는 기업이 109사로 15.6%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ESG 평가는 기존의 정량적이고 형식적인 평가에서 나아가 현실화된 ESG 위험을 분석한 심화 평가다. E·S·G 각 영역별 등급에 가중치를 적용해 산출하며 이를 통해 나온 등급은 기업의 종합적인 지속가능성 수준을 의미한다.

일감 몰아주기를 통한 지배주주의 사익편취, 경영성과에 역행하는 경영자 보수, 주주권 행사 불응으로 인한 소송 및 분쟁, 근로자의 안전사고 등이 ESG에서 낮은 지속가능성에 점수를 매기도록 하는 대표적 요인이다.

올해에는 지배구조 측면에서 B등급 이하를 받은 기업 수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다. 지배주주 지원성 매입거래(일감 몰아주기), 주주가치 훼손이 우려되는 주총 안건 상정 등 심화평가가 반영된 결과다.

해당 부문에서 A+ 등급을 받은 회사는 BNK금융지주, DGB금융지주, JB금융지주, 대우증권, 메리츠종금증권, 삼성증권, 삼성화재해상보험, 신한지주, 우리은행, 케이티, 케이티엔지, 하나금융지주, 한화생명 등 13개 회사로 나타났다.

사회책임경영 부문에서 A+등급을 받은 기업은 LG생활건강, S-Oil, 두산인프라코어, 롯데케미칼, 신한지주 등 5개에 불과해 전년 대비 A등급 이상 회사 수가 줄었다. 지배구조와 마찬가지로 담합, 근로자 사망, 소비자 안전 등 심화평가가 반영되면서 등급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두 부문에서 모두 대규모 기업의 평가가 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총액 2조원 이상의 기업과 금융회사에는 관계 법령에 의해 높은 지배구조 수준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 기업도 대부분 법적 요건을 충족시키는 수준에 그쳤다. 사회책임경영 면에서도 이에 수반되는 비용을 지출할 수 있는 여력의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했다.

환경경영 부문은 롯데케미칼, 삼성SDI, 삼성생명, 삼성전자, 한국타이어 등이 A+를 받았으며 전반적으로 지난해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세 부문 모두에서 A+보다 뛰어난 최고등급인 ‘S’등급에 해당하는 기업은 없었다.

한편 ESG 통합 등급에서도 S등급은 없었고 A+등급에도 신한지주가 유일했다. A등급에는 DGB금융지주, BNK금융지주, KB금융, LG생활건강 등 30개사가 포함됐다.

지배구조원 관계자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70% 이상의 상장회사가 E·S·G 각 영역에서 취약한 등급으로 평가돼 주주가치 훼손 우려가 있다”며 “이들 부문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기업들의 자발적인 개선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