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북 '지뢰도발' 두고 김관진 경질 '옥신각신'

입력 2015-08-16 16: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10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북한의 지뢰도발을 두고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경질론에 대해 설전을 벌였다.

새정치민주연합은 16일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지뢰 도발'과 관련, 김관진 실장에게 안보무능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사실상 경질론을 제기했다.

새정치연합 이언주 원내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이번 지뢰사건이 발생한 초기, 그리고 사건 진행과정에서 김관진 실장은 보이지 않았다"며 "세월호 사태 때도, 메르스 사태 때에도 그리고 이번 지뢰 폭발 사건 때에도 박근혜정부의 컨트롤타워는 작동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가안전보장회의가 사건 발행 후 나흘만에 개최된 점, 대통령 보고 시점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는 점, 최윤희 합참의장의 지뢰도발 사건 다음날 음주회식 논란 등을 거론, "국가안보실이 처음부터 사태 파악을 잘못한데 이어 상황파악 능력과 대처에 상당한 문제를 드러냈다"고 비판했다.

이 원내대변인은 "국가안보와 관련한 총체적 혼선은 그냥 넘어갈 문제가 아니다. 1차적으로 국가안보를 총괄하는 책임을 진 김 실장의 무능함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청와대는 이번 국가안보 시스템의 혼선을 초래한 관련자들에 대해서도 엄중 문책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새누리당은 같은날 새정치민주연합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북한의 남남갈등 술책에 말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유의동 원내대변인은 구두 논평에서 "이번 사태의 본질은 북한이 정전 협정을 위반하고 우리 군을 상대로 도발을 벌인 것"이라면서 "지금은 비상경계 태세를 강화하고 물샐 틈 없는 안보를 구축하는 게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유 원내대변인은 "민관군이 뜻을 모아서 대응책을 논의해도 모자랄 판에 정치권이 나서서 내부에 손가락질하는 것은 북한의 남남갈등 술책에 말리는 것"이라면서 "안보 문제에는 여야 없이 초당적인 협력을 바란다"고 촉구했다.

유 원내대변인은 "안보 당국을 포함해 정부의 대응에 보완할 게 있다면 진상이 완전히 파악된 후 해도 늦지 않다"면서 "사태만 발생하면 누구를 경질하라는 식의 주장은 무책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