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권역별 비례대표제하면 오픈프라이머리”… 與 “불가”

입력 2015-08-05 10:35수정 2015-08-05 10: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새누리당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수용할 경우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수용하겠다는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제안을 사실상 거부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5일 오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모처럼 야당 대표께서 제안한 것인 만큼 저희도 신중하게 검토를 해보겠다”면서도 “각각의 부분에 대한 개혁적 제도가 만들어져야 되는데 어떤 한 개혁을 위해 다른 부분을 붙여가지고 한다는 것은 조금 수용하지 어렵지 않겠느냐”고 불가 입장을 밝혔다.

김 대표는 “5선 의원으로서 그동안 경험한 바에 의하면 비례대표를 확대한 다는 것은 정치발전에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황진하 사무총장도 회의에서 “야당이 의원정수를 360명으로 하자, 390명으로 하자는 등 엄청나게 숫자를 늘리자는 안이 나와 국민의 공분을 사고 실망시켰는데 이에 대한 국민적 거부감을 인식한 것으로 생각 돼 다행”이라고 평가했다.

황 총장은 “야당이 우리당이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를 고려할 수 있다고 한데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겠다”고 햇다.

그는 그러나 “지금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같이 이 문제를 연결 시키는 것에 대해선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지역 균형과 군소정당 등장이라는 이점은 있지만, 비례대표제라는 고유의 특성을 퇴색시킨다는 점에서, 또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채택하게 되면 부득이 의원정수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황 총장은 “따라서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해 야당에서 좀 더 심도 있는 논의를 한 다음에 다시 제안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누리당이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수용한다면 우리 당도 오픈프라이머리를 당론으로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선거구를 재획정하는 이번 기회에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결정하지 못하면 내년 총선 시행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 “논의 방식은 국회 정개특위든 여야 대표가 만나든 어떤 형식이든 좋다”고 했다.

문 대표는 “우리 당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면서 의원정수 확대없이 현행 의원정수를 유지하면서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석 배분만 조정하는 선관위 안에 찬성한다”며 “여야가 각자 방안만 고집하지 말고 선관위의 제안 중심으로 통크게 합의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