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드론·슈퍼컴퓨터 수출 제한...국가안보 관련 기술 통제 강화

입력 2015-08-04 16: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이 국가 안보와 관련된 기술 통제 차원에서 고성능 무인항공기(드론)와 슈퍼 컴퓨터의 수출을 제한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상무부와 해관총서가 지난달 31일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8월 중순 이후 초강력 드론과 일부 고성능 컴퓨터를 생산하는 중국 업체들은 수출 허가를 취득해야 한다. 컴퓨터는 처리 속도가 8테라 플롭스 (초당 8조 회 이상의 부동 소수점 연산이 가능)를 초과할 경우 수출 허가가 필요하다.

이같은 방침은 외국 스파이 침입을 방지하고 세계적으로 경쟁력있는 기술 기업을 구축할 목적에서 실시해온 기술 업계에 대한 통제 강화의 일환이라고 WSJ는 풀이했다.

중국산 드론은 최근 잇따라 문제를 일으켜 논란이 됐다. 일본 도쿄의 총리 관저 옥상에서 발견된 드론과 미국 워싱턴의 백악관 앞 공원에서 날다가 발견된 드론도 중국 SZ DJI가 판매한 드론이었다. 또 지난달에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국경 분쟁이 계속되는 카슈미르 지방을 날던 인도 스파이 드론을 파키스탄 군이 격추하면서 양국간 긴장이 재연되기도 했다. 이 드론 역시 DJI 제품으로 추정됐다.

온라인 군사 전문지 칸와디펜스의 안드레이 창 편집장은 “수출 제한은 중국의 기술력에 주목을 모아 타국과의 협상에서 우위를 노린 것”이라는 견해를 나타냈다.

드론과 슈퍼 컴퓨터는 중국이 선도하는 분야다. DJI은 매출에서 세계 최대의 드론 제조 업체이며, 중국의 ‘Tianhe-2’는 슈퍼 컴퓨터의 성능 순위에서 세계 최고를 자랑한다.

WSJ는 이번 수출 규제는 보복 차원의 의미도 있다고 해석했다. 미국 정부가 지난 4월 ‘Tianhe-2’용 미국산 부품의 수출을 금지하는 결정을 내리면서 중국이 격노한 바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미국이 2025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 컴퓨터를 구축하기 위해 대통령령을 내렸다.

DJI의 마이클 페리 대변인은 이번 수출 제한과 관련, “소비자 부문에 초점을 맞춘 우리의 제품에는 영향을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