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빅데이터 전담 조직 만든다

입력 2015-08-03 06: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SNS 분석으로 '독감 창궐' 예측 가능해질 듯

통계청에 빅데이터 전담 부서가 생긴다. 정부 기관에 빅데이터 전담 부서가 설치되는 것은 행정자치부의 '빅데이터분석과'에 이어 두 번째다.

통계청 관계자는 2일 "빅데이터과를 신설하기 위해 행자부와 협의를 마쳤다"며 "기획재정부와 예산배정 관련 협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계청은 그간 인구·사업체·국세·부동산자료 등 정부 부처와 한국은행, 서울시 등이 만든 행정자료를 기반으로 통계를 내왔다.

이런 행정자료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민간기업 빅데이터를 연계해 통계작업의 외연을 넓히겠다는 것이 통계청의 계획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질병 자료와 이동통신사의 위치 정보를 버무려 '베이비붐 세대의 거주 지역별 질병 현황' 통계를 내는 식이다.

SNS에 '독감'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면 독감이 창궐한다는 데 착안한 전염병 예측 지표도 내놓을 수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정부는 전수자료를 갖고 있기 때문에 SNS 글과 전염병 확산의 관련성을 확인해 볼 수 있다"며 "타당성이 확실히 검증되면 지표를 만들어 국민에게 '시그널'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빅데이터의 특징은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 주기가 짧다는 것이다. 통계청이 준비하는 빅데이터 지표의 핵심도 속보성에 있다.

행정자료는 취합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빅데이터에 기반을 둔 속보치를 내놓을 경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처럼 예기치 못한 사태로 인한 실물경제 충격을 더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맥락에서 통계청은 '온라인물가지수'를 개발 중이다. 이 지수는 인터넷에서 수집한 가격 정보를 취합한 것으로, 실제 물가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물가 변동 추이를 하루 단위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마케팅 전략을 세우려는 개인이나 기업이 이용하기에는 한 달에 한 번 나오는 소비자물가동향보다 유용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