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은퇴硏, 은퇴와 투자 44호 발간 “노후 대비 의료비를 부탁해”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의료비 준비방법을 소개한 「은퇴와투자」 44호 '의료비를 부탁해'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

노후준비에 있어서 의료비 발생에 대비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현역 시절에 아프거나 다치면 소득이 단절되어 노후준비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고, 은퇴한 후 의료비가 발생하면 목돈이 빠져나가서 그만큼 노후자금 소진이 빨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보면 상당수 한국인들은 의료비 준비에 소홀한 편이다.암보험이나 실손의료보험 가입자 10명 중 4명은 5년 후 보험효력이 상실된다는 것만 봐도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이번 은퇴와투자 44호를 통해 국민건강보험과 노인장기요양보험, 그리고 민간 보험사의 보장성 보험에 이르기까지 의료비 준비와 관련된 대부분의 제도 및 상품들에 대한 중요 정보들을 짚었다.

또한 연령대별로 어떻게 의료비를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세부적인 전략 및 중요 점검사항들도 제시했다.

20~30대는 혹여 큰 질병에 걸리면 소득단절로 재산형성이 불가능해지므로 의료비 대비가 필요하다. 그렇다고 소득이 적은 상황에서 무턱대고 많은 보험료를 부담할 수도 없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의료비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직장단체보험 등 회사에서 지원하는 제도를 적극 활용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 보험에 가입할 때는 보험료 납입기간을 길게 가져가는 등 가입조건을 조정해 최대한 보험료 부담을 낮춰야 한다. 국민건강보험에서 지원하는 ‘고운맘카드’, ‘영유아 건강검진’ 등을 활용해 가족의 의료비를 절감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40~50대는 건강상의 적신호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시기다. 건강상태가 추가적으로 악화된다면 보장성 보험 가입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더 늦기 전에 준비 해야 한다. 40~50대가 의료비를 준비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본인이 가진 보험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언제 어떤 질병에 얼마나 보상받을 수 있는 지 점검하고 그 이후에는 부족한 부분에 대해 추가적으로 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좋다.

이 때 만약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아 실효된 보험이 있다면 해당 보험의 부활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과거에 만들어진 보험 상품들이 보장기간과 범위 등에서 유리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50 대 중후반이 되어서 직장을 떠나게 되면 건강보험공단의 ‘임의계속가입제도’를 활용해 건강보험료를 낮추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60대 이상이 되면 대부분 소득이 줄어들기 때문에 가입한 보험을 활용해 보험금을 잘 받는데 집중해야 한다. 만약 소득이 완전히 끊긴 상태라면 자녀의 피부양자로 들어가서 건강보험료를 아끼는 것도 도움이 된다.

김경록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소장은 “100세 시대는 축복이지만 아픈 채로 오래 사는 유병장수(有柄長壽) 상황이 되면 불행해질 수 있다”며 “의료비에 대한 대비를 통해 흔들리지 않는 노후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