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물땡땡이 유충 활용…모기 퇴치기술 개발

입력 2015-07-28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 잔물땡땡이의 유충을 이용해 친환경적으로 모기를 잡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모기 유충의 천적인 잔물땡땡이 유충을 활용해 모기를 잡는 생물학적 방법과 전자 장비를 이용해 모기 발생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디지털 방법을 연계한 종합 모기방제(防除)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기술은 전자 장비를 이용해 모기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지역을 파악한 후, 해당 지역에 대량 사육장비로 확보한 잔물땡땡이 유충을 투입, 모기 유충을 잡는 친환경 방제기술이다.

잔물땡땡이는 유충 단계에서 물 속의 모기 유충을 포식하며 성장하고 성충이 된 후에는 물 속 동․식물의 사체를 먹는 청소부 역할을 한다.

잔물땡땡이 암컷이 낳은 한 개의 알집에서는 약 70마리 유충이 부화하며, 특히 3령 단계의 잔물땡땡이 유충 한 마리는 하루에 900마리 이상 모기 유충을 포식할 수 있어 탁월한 모기 방제 능력을 보여준다.

잔물땡땡이는 기존의 다른 천적 생물들과 비교하여 친환경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량 공급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미꾸리나 미꾸라지는 수면 아래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주로 수면에 접촉해 생활하는 모기 유충과 습성이 다르며 모기 유충 뿐만 아니라 다른 수중 생물도 다양하게 포식하기 때문에 생물다양성의 감소를 일으킬 수 있다.

송사리나 왜몰개는 모기유충 포식율은 높지만 주로 깨끗한 물에 서식하기 때문에 대량공급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번 잔물땡땡이 활용 모기 방제기술 개발은 고려대학교(연구책임자 배연재 교수) 연구팀의 연구 아래, 2011년부터 2016년 4월까지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연구팀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에 위치한 고려대 부설 덕소농장에서 잔물땡땡이의 대량 사육장비 개발ㆍ기술 현장적용을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연구팀은 지난 2013년 말 서울시 영등포구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영등포구 당산공원의 인공 연못에 실제 잔물땡땡이를 방류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2013년 8월 약 620마리 포집된 모기 수가 2014년 8월에는 100마리 이하로 현저하게 감소했다.

아울러 모기 개체수를 집계하는 전자 장비(DMS, Digital Monitoring System)는 모기만 측정하는 감지기를 통해 모기를 자동 계수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에게 무선으로 송신해 많은 지역의 모기 발생량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김용주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원장은 “이번 친환경 모기방제 기술이 국내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중부아프리카 등 해외에도 널리 보급돼, 말라리아ㆍ일본뇌염 등 모기를 매개로 하는 질병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