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정원해킹 조사 위한 요구 수용시 백지신탁도 하겠다”

입력 2015-07-27 14: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삭제기록 100% 복구? 국정원, 백업했나 안했나…모순 해명해야”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국민정보지키기위원장은 27일 국가정보원 해킹 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로그파일 제출 등 요구 조건이 충족될 경우 국회 정보위원회로 옮겨 국정원 조사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의사를 밝혔다.

안 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보위에서 국정원의 해킹 의혹 관련 보고가 이뤄지기 전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보위에서 제대로 된 조사가 이뤄지려면 먼저 로그파일 등 요청한 정보를 제대로 제출하고, 최소 5명 이상의 전문가가 참여해야 하며, 그 전문가들이 제대로 일할 수 있도록 최소한 1개월 정도 시간을 주는 등 3가지 조건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런 조건들이 갖춰진다면 저도 정보위에 참석하겠다. 필요하다면 백지신탁도 하겠다”면서 “새누리당과 국정원은 비합리적인 핑계로 모든 것을 거부만 하지 말고 합리적인 요구를 수용해 국민적 의혹을 풀어달라”고 압박했다.

새누리당의 국정원 현장조사 재촉을 두고는 “과연 그 일(해킹 시도)을 현장에서 했는지, 국정원 밖에서 했는지도 밝혀지지 않고 있다. 국정원이 현장이란 증거부터 내놔야 한다”며 “제가 정보위 참여만 하면 다른 자료 제출, 전문가 참여 등을 다 없던 걸로 덮으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비판했다.

안 위원장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국정원 직원이 자살 전 삭제한 데이터를 국정원이 100% 복구했다고 정보위에 보고할 것으로 전해진 데 대해서도 “이해가 안가는 대목이 많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국정원 같은 기관은 항상 백업을 해 자료들을 다 복사해놓는다. 이번 경우 백업을 했는지 안했는지도 중요한 의문점 중 하나”라면서 “RCS(원격제어시스템)을 백업했다면 순식간에 복구가 가능한데도 왜 국정원은 일주일이나 걸렸는지, 자살한 분은 백업이 되는 걸 알면서도 심리적 압박에 자살을 택한 것인지 이해가 안 된다”고 했다. 또한 “만약 백업을 안했다면 그 자체로도 정보기관은 무능한 것이고, 백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루이틀이 지나면 100% 복구는 불가능해져 100% 복구 자체가 모순”이라며 “국정원의 명쾌한 설명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