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7월 27일 自强不息(자강불식) 스스로 힘쓰며 쉬지 않는 자세

입력 2015-07-27 10: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학업이든 무엇이든 일을 이루려면 쉬지 않고 수양하고 최선을 다해 힘써야 한다. 바로 자강불식(自强不息)이다. 역경의 건괘(乾卦) 상전(象傳)에 “천체의 운행은 건실하니 군자는 그것으로써 스스로 힘쓰고 쉬지 않는다”[天行健 君子以自强不息]는 말이 나온다. 천행(天行)은 춘하추동(春夏秋冬)의 건장한 순환이니 쉬지 말고 본받아 심신을 단련하고 지혜와 품성, 도덕을 닦으라는 뜻이다. 强은 彊과 상통해 自彊不息(자강불식)이라 쓰기도 한다.

이어 “땅의 형세는 유순함용하니 군자는 두터운 덕으로 만물을 싣는 것이다”[地勢坤 君子以厚德載物]는 말이 나온다. 넓은 땅에 두텁게 흙이 쌓여 있듯이 군자는 덕을 깊고 넓게 쌓아 세상을 자애롭게 이끌어야 한다.

정조의 홍재전서(弘齋全書) 제132권의 기록을 보자. 정조 18년(1794)에 이영발(李英發)이 이렇게 아뢰었다. “스스로 굳건하여 쉬지 않음[自强不息]이 진실로 군자가 천도를 체인(體認)하는 학문이지만 날이 저물면 편안히 쉬는 것[嚮晦宴息]도 성인이 때에 따라 적의(適宜)하게 하는 도입니다. 우리 전하께서는 하루에 만기(萬機)를 총괄하시어 밤낮으로 국사에 여념이 없고, 기무(機務)가 뜸하면 곧 서책을 펼치고 밤이 깊어 촛불이 다 닳을 때까지 쉴 겨를이 없으니, 이는 바로 지성(至誠)이라 쉼이 없고 밤낮으로 굳건하고도 저녁에는 잘못이 있을까 두려운 마음을 가지는 성인의 자세이지만, 혹 정력에 손실은 없겠습니까? (중략) 엎드려 바라건대 성상께서는 깊이 유념하여 때에 따라 조식(調息)하는 방도로 삼으소서.”

이에 정조는 “몸은 오래도록 안일해서는 안 되고 마음은 오래도록 수고로워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나 또한 말하노니, ‘정신적 피로의 어려움이 육체적 피로보다 백배나 더하다’ 하노라.” 정조는 그야말로 자강불식의 군주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