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수색역세권 개발 본격화…‘DMC역 구역’선도사업 추진

입력 2015-07-27 10:51수정 2015-07-28 10: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市, 코레일과 개발 합의…27일 양해각서 체결

서울시가 20만㎡에 이르는 수색역세권 개발을 본격화한다. 이는 수색역세권을 서북권 광역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한 것으로 DMC역 구역부터 추진한다.

서울시와 코레일은 총 4개 구역의 수색역세권 개발구역(20만7000㎡) 중 15%인 ‘DMC역 구역’(3만5000㎡)을 선도사업으로 추진하기로 하고, 나머지 잔여구간은 도시개발사업을 적극 검토해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27일 밝혔다.

4개 구역은 △DMC역 구역(3만5000㎡) △차량기지 이전구역(6만5000㎡) △수색역 구역(3만㎡) △기타구역(7만7000㎡)이다.

우선 DMC역 구역은 오는 30일 코레일의 민간사업자 공모를 시작으로, 올 하반기 사업자 선정이 완료되면 내년부터 사전협상 등 관련절차를 본격 추진한다.

차량기지 이전구역 등 나머지 구역은 사업 준비단계인 도시개발사업 검토방식을 용역으로 할지, 기타 다른 방식으로 할지를 올 하반기 중으로 정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서울시와 코레일은 27일 ‘수색역세권 개발의 성공적 추진과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다.

양해각서를 통해 시는 지구단위계획 및 도시계획시설사업 관련 인·허가 절차와 공공기여 부담방안 결정 등 사전협상에 적극 협조하 예정이다.

또 코레일은 철도시설 점용과 이전에 필요한 관계기관의 협의·지원에 적극 협조하고 토지소유자이자 공동사업시행자로서 사전협상에 성실히 참여한다.

반면 수색역세권 개발계획은 상암·수색지역을 연결하는 남북 연결도로 설치와 3개 노선(경의선·공항철도·도시철도 6호선)이 통합된 복합 환승거점 조성으로 상암·수색지역을 하나의 권역으로 묶어 디지털 미디어 산업의 중심 거점으로 육성하는 것이 골자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난항을 거듭하던 수색역세권 개발사업이 서울시와 코레일, 지역구의원들의 적극 협력과 이해 속에 DMC역 구역을 필두로 첫 발을 내딛게 됐다”며 “수색지역과 상암지역을 하나의 권역으로 통합, 디지털미디어산업의 중심공간으로 육성시켜 교통·경제·문화가 어우러진 서북권 중심지로 도약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