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하반기 스마트공장 900개에 1500억 투자

입력 2015-07-27 06:38수정 2015-07-27 10: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윤상직 장관,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방문…구축 성과 점검

정부가 올해 하반기 스마트공장 추가경정예산 등 1500억원을 투자해 스마트공장 900개를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엔저 등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하반기에 스마트공장 900개를 보급하는 등 정책 집행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산업부는 올해까지 스마트공장을 1200개로 늘리고 2017년에는 4000개, 2020년에는 1만개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우선 올해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를 위해 추경 40억원, 지역투자 보조금 100억원 등의 재원을 추가로 확보했다. 다음달 초부터 정부 예산 450억원, 대기업과 중소기업 투자 각각 100억원과 500억원, 산업은행 정책융자 500억원 등 1500여억원이 투입된다.

이번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은 이달말 사업공고를 거쳐 다음달 지원기업을 선정해 사업에 착수, 올해 말에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특히 경북(삼성)과 광주(현대) 등 창조경제혁신센터 2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지역 수요에 맞춰 전국 혁신센터로 확대하기로 했다.

스마트공장 산업의 세계시장 규모는 2012년 1552억달러에서 2018년 2460억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는 이에 따라 하반기 중에 ‘스마트공장 발전전략’(가칭)을 수립해 발표할 계획이다.

한편, 윤상직 장관은 이날 오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성과를 점검하고자 경기도 화성에 있는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인 에이엔텍을 방문했다.

에이엔텍은 세라믹 제품 등을 생산하는 주조업체로 작년도 시범사업을 통해 스마트공장을 도입했다. 도입 후 생산정보 수집과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짐에 따라 납기 20% 단축, 원가 15% 절감, 설비 가동률 45% 증가 등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윤 장관은 “엔저 등 수출여건 악화로 어려운 상황에서 스마트공장 구축으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높이 평가한다”며 “스마트 공장을 어렵고 복잡하게 인식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표준·인증 등을 통해 맞춤형 단계별 성장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