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내는 한계기업 37% 달해"

중소기업 중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기업이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의 이보미 연구위원은 26일 낸 '기업부채에 대한 고찰: 건전성과 효율성에 대하여' 보고서를 통해 "국내기업의 레버리지비율(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은 금융위기 때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이자보상비율은 하락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국내기업의 재무건전성을 진단하기 위해 상장기업과 비상장 외부 감사대상 기업의 재무자료를 바탕으로 레버리지비율과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을 살펴봤다.

분석 결과 전체 국내기업의 레버리지비율은 1997년 363%에서 2005년 109%로 낮아졌다. 이후 2008년 금융위기 당시 136%로 다시 증가했다가 지난해에는115%로 다시 낮아졌다.

그러나 자산규모 하위 25% 기업만의 레버리지비율을 별도로 살펴보면 레버리지 비율이 2000년대 후반 부터 급등하기 시작해 2013년 491%로까지 늘었다.

기업의 부채에 대한 이자지급능력을 보여주는 이자보상비율은 1998년 61%까지 하락했지만 2014년엔 기준 524%로까지 개선됐다. 그러나 '한계기업'으로 분류되는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이 전체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대 초반 26%에서 지난해 37%로 높아졌다.

특히 자산규모 하위 25% 기업의 이자보상비율은 2002년 343%로 양호했다가 2011년 113%, 2013년 27%로 급격히 떨어졌다.

이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의 레버리지비율과 이자보상비율이 급격히 악화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앞으로 시장금리 인상 시 유동성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모니터링과 구조조정으로 위험을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