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두달] 공포 사라지고…소강상태 -메르스 사태 일지

입력 2015-07-21 15: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한민국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 넣었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점차 소강상태로 접어들고 있다.

실제로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21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신규 환자가 16일째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사망자 역시 추가되지 않아 21일 현재 누계 환자수는 186명, 총 사망자수는 36명을 각각 유지하고 있다.

보건당국은 "WHO의 기준에 따라 최종 환자의 메르스 완쾌 시점 28일 후에 메르스 종식을 선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메르스 종식일은 이르면 다음 달 중순 이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은 국내 메르스 사태를 정리한 일지다.

▲ 2015. 4.18∼5.3 = 국내 첫 감염 환자로 판명된 1번(68) 환자, 바레인에서 농작물 재배 관련일로 체류.

▲ 5.4 = 1번 환자 카타르를 거쳐 인천공항 통해 귀국, 당시 증상 없음.

▲ 5.11 = 1번 환자 입국 7일 만에 38도 이상 고열, 기침 등 첫 증상 발현.

▲ 5.12∼14 = 1번 환자 아산서울의원 외래 진료.

▲ 5.15∼17 = 1번 환자 평택성모병원 입원.

▲ 5.17 = 1번 환자 365서울열린의원 진료.

▲ 5.18∼20 = 1번 환자 삼성서울병원 입원.

▲ 5.20 = 1번 환자 메르스 국내 최초 확진,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으로 이송. 1번 환자 부인 국내 두 번째 메르스 환자 확진.

▲ 5.21 = 1번 환자와 같은 병실 쓴 환자 국내 세 번째 메르스 환자 확진. 보건당국, 세 명의 확진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가족, 의료진 등 64명 격리조치.

▲ 5.21 = 3번 환자의 딸, 질병관리본부에 메르스 검사·격리 요구했다 증세 없어 거절.

▲ 5.22 = 3번 환자의 아들인 K씨, 고열로 응급실 첫 방문. 메르스 밀접접촉 여부 언급 안함.

▲ 5.25 = K씨, 고열 증세로 두 번째 응급실 방문.의료진은 중국 출장 취소 권유.

▲ 5.26 = 3번 환자의 딸, 네 번째 메르스 환자 확진. K씨, 중국 출장 강행.

▲ 5.27 = 1번 환자 진료한 서울 365열린의원 의사, 다섯 번째 메르스 환자 확진.

▲ 5.28 = 1번 환자와 동일병동 사용한 환자와 평택성모병원 의료진 여섯 번째, 일곱 번째 환자 확진.

▲ 5.29 = 중국 출장 간 K씨 포함 확진 판정.

▲ 5.30 = 평택성모병원 휴진. 중국·홍콩, 10번 환자인 한국인 K씨의 밀접 접촉자 56명 격리

▲ 5.31 =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메르스 전파력 판단 미흡했다' 사과.

▲ 6.1 = 격리 대상자 682명으로 급증. 메르스 첫 사망자 발생. 평택성모병원에 1번환자와 입원했으나 격리대상에 빠져있던 25번(58·여) 환자 사망 후 확진 판정.

▲ 6.2 = 6번 환자 사망. 3차 감염 환자 첫 확인.

▲ 6.3 = 메르스 환자 30명으로 급증. 격리자 1천명 돌파.

▲ 6.4 =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14번(35) 환자와 함께 있던 의사(38). 35번 환자로 확진.

▲ 6.4 = 서울시, 35번 환자가 메르스 의심 증상에도 대형 행사장과 쇼핑몰에서 최소 1천500여명의 사람과 접촉했다고 주장.

▲ 6.5 = 공군 원사 메르스 감염. 복지부, 평택성모병원 방문자 전수조사 결정.

▲ 6.6 = 2번 환자 퇴원, 국내 환자 중 첫 퇴원 사례.

▲ 6.7 = 정부, 메르스 환자 발생·경유 병원명 일괄 공개.

▲ 6.8 = 10대 메르스 환자 첫 발생.

▲ 6.9 = 세계보건기구(WHO) 메르스 합동조사단, 국내 활동 시작.

▲ 6.11 = 임신부 메르스 의심환자, 최종 확진 판정.

▲ 6.13 = WHO 메르스 합동조사단, '사태 초기 투명한 정보 공개 못해 실패', '지역사회 산발적 발생 대비해야' 조언.

▲ 6.14 = 삼성서울병원 부분폐쇄.

▲ 6.15 = 메르스 환자 150명으로 증가.

▲ 6.17 = 메르스 사망자 1명 늘어 총 20명 발생.

▲ 6.18 = 강동경희대병원 투석실 환자 110여명 메르스 노출우려

▲ 6.19 = 마거릿 찬 WHO 사무총장 "한국 메르스 변이없고 대중유행 위험 낮아"

▲ 6.20 = 메르스 환자 경유한 구리카이저병원 전원 격리

▲ 6.23 =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부회장, 메르스 사태 관련해 대국민 사과문 발표. 메르스 감염된 임신부 확진 판정받고 안전하게 출산. 강동성심병원 외래·신규입원 중단.

▲ 6.24 = 방역당국, 삼성서울병원 부분폐쇄 연장 결정, 건국대병원 신규외래·입원 중단 등 부분 폐쇄.

▲ 6.25 = 메르스 확진환자 180명으로 증가.

▲ 6.26 = 중국에서 메르스 확진판정 받은 10번 환자 퇴원

▲ 6.27 = 강동경희대병원 간호사 '무증상 감염'으로 최초 확진 판정

▲ 6.29 = 국내 첫 메르스 환자 격리해제, 일반 병실서 치료

▲ 7.2 = 메르스 환자 5일만에 추가 발생, 완치자 100명 돌파

▲ 7.2∼4 = 삼성서울병원 의사 1명·간호사 2명 추가 확진

▲ 7.4 = 삼성서울병원서 치료받던 메르스 환자 전원(15명), 국립중앙의료원·서울시 보라매병원 등으로 이송.

▲ 7.5 = 186번째 환자 확진

▲ 7.6 = 방역당국 "메르스 큰 고비 넘겼다"

▲ 7.21 = 방역당국 "메르스 종식 일러도 8월 중순이후"

▲ 7.21 = 방역당국, 메르스 확진 16일째 '0'…자가 격리자 5명 줄어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