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해법 도출 불발… 野 “국정원, 청문회 하자” vs 與 “정보위 현장검증 하자”

입력 2015-07-20 18: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1일 양당 원내대표 만나 재논의

(사진=연합뉴스)
여야는 20일 국가정보원 해킹 프로그램 의혹의 진상규명 방식을 놓고 논의했지만 이견만 확인한 채 끝났다. 야당은 국정원을 상대로 청문회 개최를 주장했지만 야당은 ‘비공개 원칙’을 고수하며 국회 정부위원회 차원에서 현장검증에 응할 것을 요구했다.

아울러 추가경정예산 편성과 관련해서도 여당은 24일 본회의 처리 입장을 내세운 반면, 야당은 세입경정 예산 삭감 및 법인세 인상 부대의견 첨부 등의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이날 새누리당 조원진·새정치민주연합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와 국회 정보위 여당 간사를 대리한 새누리당 박민식 의원, 야당 간사인 새정치연합 신경민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2+2 회동을 통해 현안을 논의했지만 성과를 내지 못한 채 마무리 됐다. 양당은 주요쟁점을 놓고 21일 원유철·이종걸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다시 만나 협상을 시도할 예정이다.

새누리당은 야당이 새롭게 주장하는 청문회 개최에 대해 ‘비공개 원칙’에 맞지 않고 대정부질문 역시 국정원장이 공개 석상에서 현안에 대해 답변하는 게 부적절하다며 반대했다. 대신 정보위를 열어 국정원의 비공개 보고를 받는 방식을 제시했다. 조원진 수석부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이달 말쯤 (임씨가 삭제한 자료가) 복구된다. 복구되는 시점에 (국정원을) 현장 방문하는 게 좋지 않으냐고 제안했다”며 “자료 검증은 정보위에서 비공개로 하면 되지 않느냐”고 말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은 자살한 국정원 직원 임모(45)씨가 해킹 프로그램을 구입·운영했으며 자료를 삭제한 만큼, 이를 복구·분석하고 조사를 위한 장비와 인력을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춘석 수석부대표는 기자들에게 “청문회를 100% 공개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필요하면 일정 부분 비공개할 수도 있다”며 “준비 안 된 상태에서 현장조사를 해봐야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