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개인용인공호흡기’ 올바른 사용 및 주의사항 안내

입력 2015-07-17 15: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가정서 사용 시 주의사항 및 경보음 발생 시 대처방법 등 숙지 필요

(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가정에서 ‘개인용인공호흡기’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의사항 등을 안내하는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지 제7호를 발간한다고 17일 밝혔다.

개인용인공호흡기란 환자가 자발적으로 호흡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충분하지 않은 경우, 공기를 환자의 폐 안으로 들여보내고 나올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도움을 주는 인공 환기장치로 사용 전 반드시 의료진의 진단과 처방이 있어야 한다.

특히 개인용인공호흡기는 환자의 생명과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의료기기인 만큼, 가정에서 사용 시 주의사항과 경보음 발생 시 대처방법 등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는 게 식약처 측 설명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지 제7호의 주요 내용은 개인용인공호흡기 안전사용을 위한 사용 전과 사용 중의 각 점검사항·경보음이 울리는 경우 대처방법 등이다.

사용 전에는 환자에게 기기를 연결하기 전에 들숨과 날숨의 호흡 설정을 확인하고 안정적인 전원공급과 적절한 통풍 및 온·습도 유지가 되는 환경인지, 경보음이 명확하게 들리도록 경보음 볼륨이 조정돼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 사용 중에는 1회 호흡량·호흡 횟수·경보 기능 작동 여부·가습 온도가 환자의 체온과 비슷하게 유지되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인공호흡기와 환자를 연결하는 튜브를 정기적으로 교환·세척해야 한다.

경보음이 울리는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호흡기 튜브가 꼬이거나 꺾인 경우 △호흡기 튜브의 연결 부위가 밀착되지 않거나 느슨해진 경우 △배터리가 방전돼 외부전원과 연결을 필요로 하는 경우 △인공호흡기 튜브 내에 고인 물이 있는 경우 등이 있다.

특히 인공호흡기의 사용 중 기기에서 울리는 경보음은 다양한 원인이 있으므로, 경보음이 발생할 경우 즉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경보음에 따른 조치가 어려울 경우에는 즉시 수동식 인공호흡기로 대체하고, 가까운 병원 응급실로 이송하는 등 응급조치를 해야 한다.

식약처 관계자는 “앞으로도 가정에서 사용하는 의료기기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정확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