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메이커]새누리당 유승민 의원, 친박→탈박→비박→‘배신의 정치’ 독박… 다음엔 대박?

입력 2015-07-16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朴 당대표 시절 비서실장 친박계 핵심…“증세없는 복지는 허구”등 소신발언에 멀어져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은 국회법 파동을 계기로 박근혜 대통령과의 ‘완전한 결별’을 선언했다. 2005년 박 대통령의 한나라당 대표 시절 비서실장으로 본격적인 인연을 맺고 2007년 대선 경선까지 몸을 던져 뛰었던 그다.

유 의원이 박 대통령을 멀리하게 된 건 정책적인 부분에서 소신이 달랐기 때문이지만, 박 대통령의 그늘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자기 정치’를 시작하면서부터라는 말이 더 맞을 것 같다.

국회법 파동으로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난 그는 당분간 언론을 피해 조용히 지낸다는 계획이다. 차후에는 적당한 기회를 찾아 본격적인 차기 대권경쟁에 합류할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일시적이나마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여권 내 차기 주자 중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지만, 당장 내년 공천 문제부터 걱정해야 할 상황에 직면해 있어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유승민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8일 국회 정론관에서 사퇴 기자회견을 하던 도중 착잡한 표정을 짓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2005년 친박 핵심에서 비박으로 돌아서기까지= 유승민 의원이 정치에 입문한 건 2000년 2월이다. 당시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와의 인연으로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 소장으로 발탁됐다. 이후 2004년 총선을 통해 원내에 진입하고, 이듬해인 2005년 1월 당시 박근혜 대표의 비서실장으로 낙점됐다.

시작은 이처럼 나쁘지 않았다. 당시 ‘대구’ 지역구를 바탕으로 유 의원과 박 대표는 더욱 가까워졌고, 유 의원은 친박(친박근혜)계 핵심으로 떠올랐다.

2007년 대선 경선 때에는 박근혜 후보 캠프에서 ‘이명박 후보 저격수’를 자처하며 적극적으로 뛰었으나 패배했다. 경선이 끝난 뒤에도 둘 사이는 좋았지만, 사소하게 자주 부딪혔다.

결정적으로 갈라선 건 2011년 무렵이다. 유 의원은 친박계를 대표해 전당대회에 나서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최고위원이 된 이후에는 소신 발언을 잇달아 쏟아내며 대립했다. 본격적으로 ‘자기 정치’를 시작하게 된 것으로, 박 대통령과 사이가 벌이진 건 이때부터다.

같은 해 새누리당으로의 당명 개정을 반대하며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체제에 반기를 들었고 ‘탈박’의 길을 걷는다. 2012년 대선 때 중앙선대위 부위원장으로 박근혜 후보 캠프에 뒤늦게 합류하긴 했지만, 친박 사이에선 이미 ‘왕따’였다.

올해 원내대표를 맡으면서 박 대통령과의 관계가 다시 회복될 조짐도 보였으나 “증세 없는 복지 확대는 허구”라며 대선공약을 정면 부정하면서 관계는 악화일로에 놓였다. 특히 국회법 파동으로 박 대통령의 입에서 “배신의 정치”가 언급됐고, 유 의원은 “우리 헌법 1조 1항의 지엄한 가치를 지키고 싶었다”는 말을 남기며 둘은 돌아설 수 없는 강을 건너고 말았다.

◇ 청와대 문고리 3인방과의 갈등 = 박근혜 대통령과 유승민 의원 사이에 있었던 일련의 사건들에는 이른바 ‘문고리 3인방’으로 불리는 청와대 이재만 총무비서관, 정호성 대통령비서실 부속비서관, 안봉근 홍보비서관 등 3명의 문제도 작지 않았다.

2005년 자신이 비서실장임에도 당시 박근혜 대표의 보좌진에 불과했던 문고리 3인방은 정보를 독점하고 중요한 내용은 대표에게 직접 보고를 하는 등 비정상적인 대표보좌를 해왔다. 자존심이 센 유 의원은 이들 3인방의 잘못된 행태에 호통을 친 적도 몇 차례 있었다고 한다. 3인방 입장에선 이런 유 의원의 강단이 못마땅할 수밖에 없었다. 박 대통령과 소통이 제대로 안 된 데는 이런 관계도 한몫했다는 지적이다.

최근 정윤회 파동 때에는 유 의원이 ‘배후’로 지목되면서 박 대통령을 비롯한 3인방과 갈등의 골이 깊어지기도 했다.

◇ 부친 유수호 전 의원과 故박정희 전 대통령과의 악연 = 유승민 의원의 부친인 유수호 전 의원과 박 대통령의 선친 박정희 전 대통령과의 악연도 최근 정치권에 다시 회자되고 있다.

대구 중구에서 재선을 지낸 유 전 의원은 박정희 정권 때 있었던 ‘사법 파동’으로 44명이 판사직을 내려놓을 때 이들 사이에 섞여 있었다. 판사 시절 박정희 정권에 불리한 판결을 내린 전력 때문이다.

유 전 의원은 판사로 재직하면서 1971년 당시 박정희 대통령 후보의 선거를 돕다가 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정치인들에게 실형을 선고했다. 또 박정희 후보의 득표율을 조작한 공무원들을 엄벌했고, 반대로 군사 정권에 반대한 시위 학생들에겐 면죄부를 주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

◇ 내년 총선 중대 기로… 정치행보 고민 커져 = 친박의 틀을 벗어나 홀로서기에 나선 유승민 의원의 당면과제는 내년 총선이다. 공천을 받지 못하면 대권을 향한 꿈도 모두 물 건너갈 공산이 크다. 여기에는 김세연·이종훈·민현주 의원 등 측근 의원들의 정치적 명운도 걸려 있다.

‘유승민계’ 의원은 비록 7~8명에 불과하지만, 이들마저 20대 총선에서 떨어져 나갈 경우 작게나마 형성된 당내 기반마저 잃게 된다. 별다른 지지세가 없는 유 의원으로선 자신을 포함해 이들의 공천을 챙기는 게 최우선 과제가 아닐 수 없다. 과거 고건 전 총리가 대통령 후보 지지율 1위까지 올라갔음에도 대권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던 것도 조직이나 기반이 튼실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자신만의 개성 있는 정치를 하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하다.

유 의원은 지난 10일 발표된 리얼미터의 차기 대권주자 지지율 조사에서 19.20%를 얻어 여권 내 1위를 차지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새누리당 성향보다는 중도·진보층의 지지가 많았다는 걸 알 수 있다.

이런 국면에서 유 의원의 생존전략은 새누리당 주류와 차별화된 자신만의 노선을 추구해 새누리당이 갖지 못한 중도·진보·무당층을 흡수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유 의원과 가까운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유승민 의원이 기왕에 박 대통령과 등을 돌렸다면 선명하게 자기 색깔을 냄으로써 독자적인 지지층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