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합병 무산시 주가하락 피해 일반주주에게 넘겨질 가능성 커”

입력 2015-07-14 10: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 무산시 삼성물산 주가하락으로 인한 피해는 일반주주에게 넘겨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백광제 교보증권 연구원은 14일 보고서를 통해 “헤지펀드와 소액주주의 이익 방향성이 불일치 할 수 있다”며 “삼성물산의 주가가 상승해야지만 이득을 볼 수 있는 구조인 일반 주주와는 이익의 방향성이 크게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백 연구원은 헤지펀드는 주식 매수를 통한 단방향 매매는 하지 않았을 것이며 지난 주가 상승(7만 5000원~8만원)시 주식 공매도나 삼성물산 주식선물매도를 통한 이익 확정을 해두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이런 시나리오는) 가정에 불과하지만 이러한 이익 확정방법은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흔히 쓰이는 방법”이라며 “헤지펀드는 추가적인 주가 급락이 있더라도 충분히 손실을 입지 않을 수(추가적인 이익을 거둘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엘리엇이 지분율 변동 없이 외부 변수 조절을 통한 이익 증대가 가능하다는 점과 보도자료를 통해 충분히 주가의 방향성에 관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런 점에서 주가가 올라야만 이익을 볼 수 있는 소액주주와는 이익방향성이 다르다는 설명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상하방 양쪽의 이익 증대가 충분히 가능한 상황에서 해당 헤지펀드의 추가적인 자금투입을 통한 현물 매수 및 지분경쟁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 판단되며 결국 합병 무산시 주가하락 피해는 일반 주주에 넘겨질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