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北주민 백신지원… 질병대응 협력체계 구축”

입력 2015-07-10 12: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박근혜 대통령은 10일 “북한 주민의 결핵, 풍진을 예방하기 위해 백신과 항생제를 지원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질병관리 차원의 중장기적인 해결책을 모색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통일준비위원회(통준위) 민간위원들과 집중토론회를 열고 통일 준비와 관련한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방안을 논의했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남북한이 함께 보건의료 협력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 등 주변국들과 질병대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보건의료 인력을 양성해 나간다면 보다 건강하고 안전한 동북아를 만드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세계적으로 전염병과 질병으로 인한 피해가 확산되면서 국제기구는 물론 이웃국가간 보건의료 협력도 강화되고 있는데 남북한도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지키는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정부는 남북이 공유하는 하천에 대한 공동관리와 산림복원을 비롯한 환경협력을 통해 자연재해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을 모색해왔다”며 “이제 남과 북은 기후변화를 비롯해 한반도를 위협하는 자연재난에 함께 대처하면서 공동의 노력을 펼쳐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지난해 정부는 남북한 실질적 협력의 통로를 열기 위해 다양한 구상을 마련했지만 아직 북한은 호응하지 않고 있다”며 “북한이 대결적 발언을 반복하면서 민간교류를 많이 중단했지만 최근에는 대화와 협력의 의지를 조금이나마 비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박 대통령은 “정부는 항상 대화와 협력의 문은 열어놓고 있고 지금이라도 북한이 대화의 테이블에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다”며 “더 늦기 전에 분단의 고통을 치유하고 평화통일의 기초를 세워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미국-쿠바의 국교정상화, 이란 핵문제 해결을 변화와 협력이 국제사회의 큰 흐름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 “이제 남은 것은 지구상 유일하게 남아있는 한반도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는 것이고, 그 변화를 북한도 계속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산가족 생사확인 및 서신교환 △언어·문화 합치 및 민족역사 복원을 위한 교류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 △경원선 복원 착공 및 나진·하산 물류사업 성공 등 기존 대북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통준위) 연구결과 중 필요한 부분은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해 남북한 주민들이 통일 미래에 대해 막연한 두려움이 아닌 현실적인 기대감을 갖고 통일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