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구조조정 대상 40여곳 예상 ... 취약업종 이외 전 업종 확산

입력 2015-07-10 10:27수정 2015-07-10 11: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르면 다음주 신용위험 평가 결과 발표...경남기업 등 대출 특혜 시비 악영향

이달 중 대기업 40여곳이 구조조정 대상에 오를 전망이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조선, 건설, 해운 등 기존 취약업종에서 반도체와 철강설비업체 등 업권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내수침체 장기화, 엔저 등 경영여건 악화로 부실기업이 늘어난 데다, 모뉴엘과 경남기업 사태를 둘러싼 대출 특혜 시비도 악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더 큰 문제는 대기업 구조조정 후폭풍이 중소기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지난해 대기업의 성장이 중소기업으로 전이되는 낙수(트리클 다운) 효과마저 사라져 5년 만에 가장 많은 125개 중소기업이 퇴출됐다. 이미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위험 평가 작업도 시작돼 오는 11월 퇴출 기업이 나온다.

10일 금융당국 및 은행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은행들은 금융권에서 500억원 이상 여신이 있는 대기업을 대상으로 신용위험 평가를 한 결과, 40여개 기업이 C등급(워크아웃)과 D등급(법정관리)으로 분류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이르면 다음 주 A등급(정상)과 B등급(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제외한 구조조정 대상 기업을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C등급에 해당하는 대기업은 채권단과 워크아웃 약정을 맺고 경영 정상화를 추진한다. D등급은 채권단 지원을 받지 못해 자율적으로 정상화 추진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된다.

앞서 금감원은 올해 대기업 신용위험 평가에서 예년과 달리 채권은행에 엄격한 기준과 선정 작업을 주문했다. 지속적인 대기업 구조조정 추진에도 경기부진 지속과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이자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들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어느 정도 매출이 발생하고 있는 기업도 부채나 계열사 지급보증 규모가 크면 금융비용을 충당하기 어렵다”며 “포스코플랜텍, STS반도체의 워크아웃을 계기로 부실 우려 기업에 대한 평가가 그 어느 때보다 신중하게 됐다”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한국은행이 외부감사를 받는 비금융법인 2만5452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 기업 중 한계기업 비중은 2009년 12.8%(2698개)에서 2014년 말 15.2%(3295개)로 증가했다. 이 중 대기업의 한계기업 비중은 2009년 9.3%에서 2014년 14.8%로 증가해 중소기업의 한계기업 비중(2013년 13.5%→2014년 15.3%)에 근접하고 있다.

한편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한국에서 대출이자 비용에도 미치지 못하는 영업이익을 내는 한계기업이 증가하는 현상이 국내 은행권의 자산건전성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