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형 제약기업 탈락한 제약사 5곳 살펴보니

입력 2015-07-06 11: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동화약품, 작년 리베이트 사건에 재인증 포기… 일동제약, 요건 충족됐는데도 신청철회

정부가 최근 ‘혁신형 제약기업’ 재인증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41곳 중 36곳이 인증을 연장한 반면, 동화약품·일동제약·광동제약·SK바이오팜·바이넥스 등 5곳이 제외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6일 보건복지부와 제약업계에 따르면 이번에 인증이 연장되지 못한 5개 기업은 △철회 및 인증 연장 미신청 2곳 △연구개발(R&D) 투자 비율 미달 등 선정 요건 미흡 2곳 △특별법상 제약기업 요건 상실 1곳 등이었다.

동화약품과 일동제약은 혁신형 제약기업 재인증 연장을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동화약품은 인증 연장 신청서를 접수하지 않았고, 일동제약은 이 신청서를 제출했다가 철회했다.

동화약품의 경우 지난해 불거진 리베이트 사건으로 인해 재인증 신청을 포기한 것으로 풀이된다. 50여억원의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약 9억원의 과징금을 부여받아 관련법상 재인증 신청을 했다 하더라도 사실상 탈락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일동제약은 R&D 투자 비율 및 해외 진출 역량 등의 요건을 충족했음에도 불구하고 재인증 신청을 철회해 궁금증을 자아냈다. 업계 일각에선 최근까지 불거졌던 녹십자와의 경영권 분쟁에 따른 부담감이 이 같은 결정에 작용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에 대해 일동제약 관계자는 “재인증을 신청하지 않은 것은 녹십자와는 무관하다”며 “묵묵히 현재 진행 중인 연구개발에 회사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광동제약의 경우 R&D 비율이 기준에 못미친 데다 해외 진출 역량 역시 미흡해 재인증에서 탈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3년간 이 회사의 매출액 대비 R&D 비율은 1%에 그쳤을 뿐만 아니라,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해 상장 제약사들의 매출액 대비 R&D 비중은 평균 8.2%인 데 반해, 광동제약은 1.1%에 불과했다.

SK바이오팜과 바이넥스는 기준 미달 및 특별법상 요건에 해당되지 않아 재인증에 실패했다.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혁신형 제약기업으로 선정되면 국가 R&D 사업 우선 참여 및 세제 지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R&D 투자 비율 미달 등으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탈락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