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원 비난 · 존속법인 백지화 … 코너 몰린 외환 노조

입력 2015-07-03 10: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하나금융 “더 이상 기다리기 어렵다”외환은행 직원 직접 설득 나서기로

외환은행 노조가 코너에 몰렸다. 법원의 가처분 취소 결정 이후 통합 반대에 대한 명분을 상실한 데에 이어 대화에도 적극적이지 않아 직원들의 비난이 쇄도하고 있다. 지난 1일 본점 영업기획부 분회원 일동 명의로 첫 성명서가 올라온 데 이어 일선 지점의 직원들은 사내 인트라넷에 대화를 촉구하는 릴레이 성명서를 게재하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외환은행 직원들은 현재 수십여 개의 본점 부서를 필두로 의견을 모아 사내 인트라넷에 노조의 대화 참여를 촉구하는 릴레이 성명서를 올리고 있다.

성명서 내용은 △조속한 조기 통합의 필요성 △즉각적 대화 재개 △대화의 전권을 위임받은 은행장을 협상의 주체로 인정할 것 △향후 계획에 대한 노조의 명확한 입장 표명 촉구 등이다.

외환은행의 한 직원은 “은행원으로서 치열한 영업경쟁 현실 속에서 제대로 영업에 몰두하고 싶다. 대안 없는 노조의 대화 거부는 이제 직원들이 거부한다”며 “노사 간 통합에 대한 마찰과 대립, 갈등과 반목이 하루빨리 종식되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외환은행 노조는 뒤늦게 2일 “4대 4 대화단 논의를 시작으로 협상을 재개했다”며 직원들의 부정적 분위기 수습에 나섰다.

하지만 지난 1일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이 제안한 5인 대화(김정태 회장, 김한조 행장, 김병호 행장, 외환은행 노조위원장, 하나은행 노조위원장)에 외환은행 노조만 불참해 비난을 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은 오는 6일까지 대화에 진전이 없는 경우 외환은행 직원들을 상대로 직접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오는 9월 말까지 조기 통합되지 않으면 등록면허세 비용 차이에 따른 경영진에 대한 배임문제 때문에 외환은행의 존속법인은 백지화된다. 하나금융은 통합 시기가 늦어지면 결국 감면기한을 넘겨 2754억원의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외환은행 노조는 지난달 26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의 외환·하나은행 조기 합병 금지 가처분 취소 결정에 대해 2일 오후 서울고등법원에 ‘즉시항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