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in 세종] 기재부 국제금융국은 요즘…

입력 2015-07-02 11: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AIIB 내 영향력 키울 부총재 배출 사활

최근 기획재정부 내 사무관과 서기관들은 가장 선호하는 부서로 국제금융국을 꼽는다. 모든 업무가 영어로 이뤄지다 보니 자연스럽게 유학 준비도 할 수 있으며 전문성이 있고 자기 역량을 키울 수 있어서다.

국제금융국 직원들은 사무관 초기부터 해외 출장을 준비하고 국제기구 회의에 참석하며 경험을 쌓는다. 해외 여러 나라와 토론도 하고 협상을 하는 과정에서 보람을 느낀다고 한다. 이렇다 보니 직원들의 소속감도 높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G20 정상회의, 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 등을 비롯해 중국이 주도하는 신설 국제금융기구인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협정에 서명하기까지 최근 우리나라가 국제무대에서 돋보이는 성과를 보인 데는 국제금융국의 숨은 노력이 있었다.

AIIB는 지난달 29일 최경환 경제 부총리가 협정문에 서명했으며 3.81%의 지분율과 3.50%의 투표권을 확보했다. 이는 전체 회원국 중 5위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는 지금까지 한국이 가입한 국제금융기구 중 가장 높은 순위다.

국제금융국은 AIIB 내에서 목소리를 주도적으로 내려면 당장 이사직을 확보해 부총재로 올려야 하는 것이 과제다. 현재 동남아 및 중앙아시아 국가와 공동으로 이사직을 확보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사국 지위까지 얻으면 아시아 인프라 시장에 대한 한국 기업들의 진출 문호는 한층 넓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수년간 아시아개발은행(ADB) 부총재직에 연거푸 고배를 마셨기에, AIIB 부총재직 진출에 사활을 거는 분위기다.

국제금융국은 또한 외환제도 개혁 방안의 구체적인 실행을 위한 점검과 대응에도 분주하다. 기재부는 △자율성 확대 △글로벌 경쟁력 제고 △제재수위 강화를 골자로 하는 ‘외환제도 개혁방안’을 확정 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연간 5만 달러 이상을 해외로 보내거나 하루 2만 달러 이상을 해외에서 받을 때 은행에 거래 사유만 설명해도 되도록 제도를 바꾼다.

자본거래 사전신고제를 원칙적으로 폐지하고 5000만달러 초과 거래 등에 한해 예외를 두기로 했다. 50만달러가 넘는 대외채권을 보유할 경우 채권 만기로부터 3년 이내에 국내로 회수해야 하는 규정도 없앤다.

기재부 관계자는 “기업들이 해외에서 자산을 자유롭게 굴릴 수 있어 기업 활동의 자율성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