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개혁] 증시 상장 쉬워진다

입력 2015-07-02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앞으로 코스닥시장 입성이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는 2일 한국거래소 지주사 전환을 골자로 하는 ‘거래소시장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유가증권시장본부, 코스닥시장본부, 파생시장본부 등 각 본부를 별도의 자회사로 분리해 거래소를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고 기업공개(IPO)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별도 법인으로 분리되는 코스닥시장은 혁신형 기술기업 등에 대한 적극적인 상장유치를 통해 코스피시장과 차별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코넥스시장은 코스닥거래소에서 운영한다.

코스닥시장이 첨단기술기업을 위한 시장으로서 역할이 강조되면서 상장 기준이 보다 유연화될 전망이다. 현재 코스닥시장의 상장 기준인 이익요건 등을 완화해 상장 요건에 부합하는 이익을 못 내더라도 상장이 허용된다. 미국 나스닥의 경우 다양한 상장기준과 질적심사 등으로 고속성장 기업이 상장하기 유리한 요건을 가지고 있어 ‘바이두’와 같은 중국 신흥 인터넷 기업이 적자상태에서도 증시에 입성했다. 하지만 국내 상장제도는 이익요건 위주의 상장기준을 고집하고 있고 기술평가상장특례 등은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다.

김학수 금융위 자본시장국장은 “한국의 대표게임업체인 넥슨이 한국거래소를 찾지 않고 일본 JPX에 상장한 것은 국내 코스닥시장으로선 아픔”이라며 “국내 상장제도와 관행이 기업의 니즈에 거래소가 쫒아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외감대상기업 중 600여개가 코스피 상장 요건을 충족하고 9000여개가 코스닥상장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추산되지만 연 신규상장은 40여건 내외에 불과하다.

일각에서는 코스닥을 분리하고 상장요건을 완화한다면 부실기업들이 코스닥시장으로 유입되면서 2000년대 초 닷컴버블 사태 때처럼 투자자들의 손실과 함께 코스닥 시장의 신뢰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김 국장은 “우리 시장이 성숙돼 있어 기존 코스닥시장에서 나타난 무분별한 상장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며 “코넥스 시장에서 이런 위험이 일정 부분 걸러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