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그룹 계열사 절반 임금피크제 도입

입력 2015-07-01 18: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나머지 계열사도 도입키로…56세부터 감액 적용 많아

30대 그룹 계열사의 절반이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고용노동부가 자산총액 기준 상위 30대 그룹 주요 계열사를 조사한 결과 378개 기업 중 47%(177개)가 임금피크제를 이미 시행 중이다. 도입하지 않은 나머지 그룹 계열사도 내년 정년 60세 의무화를 맞아 임금피크제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그룹 규모가 클수록 도입 비율이 높았다. 자산총액 기준 1∼15위 그룹(삼성, 현대차, SK, LG, 롯데, 포스코, 현대중공업, GS, 농협, 한진, 한화, KT, 두산, 신세계, CJ)은 계열사 275개 중 55%(151개)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16∼30위 그룹(LS, 대우조선해양, 금호아시아나, 동부, 대림, 부영, 현대, OCI,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석유공사)은 계열사 103개 중 25%(26개)가 도입했다.

임금피크제에 들어가는 직원의 임금이 감액되기 시작하는 연령을 보면 56세가 37.5%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58세(29.2%), 57세(16.7%), 59세(12.5%) 순이었다.

그룹별로 보면 삼성그룹은 전 계열사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키로 지난해 노사가 합의했으며,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적용할 방침이다. LG, 롯데, 포스코, GS그룹은 주요 계열사가 이미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고 있다. 아직 도입하지 않은 일부 계열사도 올해 하반기나 내년 이후 도입할 예정이다.

농협그룹은 다사(多社) 1노조 체제로 현재 노조에서 임금피크제 도입관련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논의 중이다.

현대중공업 그룹은 오일뱅크 등 계열사별로 임금피크제 도입 여부를 검토 중이며, 현대자동차그룹은 대부분의 계열사가 사실상 정년 60세를 시행하고 있다. 임금피크제 적용 후 근로자 임금은 10∼30% 수준에서 감액하고 있다.

한진그룹의 경우 원만한 노사관계를 바탕으로 지난 3월 대한항공을 필두로 주요 계열사(16개소) 모두 정년연장과 동시에 임금피크제 도입에 합의했다. 신세계그룹의 경우 법시행 이전에 정년을 60세로 조기연장하고 임금피크제를 도입해 실질적 고용안정을 실현하고 있다.

SK그룹의 경우 다수의 계열사가 고령자법 개정 전부터 이미 정년을 60세로 정하고 있었으며, 정년 60세 미만인 회사는 고령자법 개정을 전후하여 임금피크제를 도입하였거나 도입을 검토 중이다.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30대 그룹에 이름을 올린 7개 공공기관은 이 중 5개 기관(수자원공사, 도로공사, 전력공사, 철도공사, 토지주택공사)에서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상태다.

7개 공공기관에 속해 있는 자회사 17개 의 경우 각각 작년과 올해 코레일관광개발과 주택관리공단만이 임금피크제 도입했으며 다른 기관은 도입하지 않은 상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