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 부문 온실가스 감축…“2025년까지 국제항공 연료효율 연평균 1.3% 높인다”

입력 2015-07-01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제항공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부, 항공사, 공항공사가 공동의 노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2025년까지 항공기 연료효율을 연평균 1.3%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다.

국토교통부는 항공사, 공항공사 등과 공동으로 11개 주요 감축수단을 담은 ‘제2차 국제항공 온실가스감축 국가이행계획’을 수립해 30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제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감축이행계획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결의에 따라 2012년에 이어 두 번째로 수립된 것이다.

이번 계획을 적극 이행하는 경우 2025년까지 예상배출량(2497만톤) 대비 13%(334만700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계획에 포함된 주요 감축수단은 신형 항공기 도입, 항공교통흐름관리(ATFM, Air Traffic Flow Management), 항공로 복선화, 공항에 항공기 주기시 보조동력장치 사용대신 지상전원공급장치의 사용을 확대하는 방안 등이다.

바이오항공유는 현재 국내에서도 기술 개발 중에 있으나, 상용화 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돼, 이번 주요 감축수단으로 포함하지 않았다.

국토부는 이행계획 수립을 위해 정부, 항공사, 공항,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실무작업반을 구성해 목표 설정, 감축수단 발굴ㆍ선정 등 분석 작업을 진행했다.

실무작업반 활동을 통해 마련된 초안은 협의회 위원 등의 평가를 거쳐 최종 ‘국제항공 온실가스 감축이행계획’으로 확정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