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취약층 연체율 증가 ② 美 금리인상 조짐 ③ 부동산 가격 하락 우려
올해 1분기 기준 가계부채 규모가 사상 최대치인 약 1100조원에 달한 가운데 가계부채의 부실화를 초래하는 악재가 국내 금융 및 부동산 시장에 산적해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가계대출의 질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취약계층의 채무상환 능력이 점점 약화되고 있어 가계부채 부실화의 뇌관이 될 것이란 지적이다.
여기에 하반기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상승과 수요 감소에 따른 집값 하락 전망도 가계부채를 우려하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소득이나 신용등급이 낮은 금융 소외계층을 위해 마련된 바꿔드림론, 새희망홀씨, 미소금융 등의 연체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바꿔드림론은 2013년 말 연체율이 16.3%였다가 지난달 말에는 25.7%까지 치솟았고, 새희망홀씨는 지난달 말 기준 0.6%p 오른 3.2%를 기록했다. 2012년 말 4.3%이던 미소금융 연체율은 2013년 말 7.1%, 지난달 말 8.5%로 올랐다.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금리 인상 동조화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미국을 따라 한국도 금리 인상에 나서면 이자 부담이 가중돼 가계부채의 상환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2분기 미국의 고용지표가 호조세로 돌아섬에 따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오는 9월 금리 인상에 착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재닛 옐런 의장은 지난달 “올해 연방기금 금리를 인상하고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을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고 밝힌 바 있다.
부동산 가격 하락도 가계부채 부실화 속도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 1인가구 등 인구구조 변화로 부동산 수요가 감소해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또 저리에 대출을 받아 부동산을 구매하지만 금리 인상으로 원리금 상환 능력이 약화되면 매물 증가로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 악순환이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 부채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50∼60대의 주담대 비중이 절반에 가깝다는 사실이다. 지난 2월 기준 4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가운데 40대 비중은 34.1%, 50대 27.7%, 60대 이상 15.4%로 조사됐다. 50대 이상이 전체의 43.1%를 차지하며, 40대 이상으로 범위를 넓히면 77.2%에 달한다.